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경화연 2(대산세계문학총서 109)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경화연 2(대산세계문학총서 109)
정가 ₩17,000
판매가 ₩15,3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문학과지성사
ISBN 9788932022697
출간일 20111229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경화연 2(대산세계문학총서 109) 수량증가 수량감소 153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혁신적 사고와 뛰어난 상상력으로 청조 문학의 으뜸이라고 일컬어지는 경화연. 풍자소설, 기행소설로 분류되는 동시에 역사소설, 재학소설, 영웅 전기의 특색을 두루 지닌 이 대작은, 신화로 시작해 선녀가 속세에 떨어지면서 무측천의 집정이라는 역사로 들어가고, 산해경 속 신화와 전설을 따라 여행하면서 상상력의 나래를 편다. 이후 고금을 넘나드는 학식과 백과사전 같은 지식이 펼쳐지고 난 뒤 소설은 다시 종종 복위라는 역사 속으로 안착한다.

저자 이여진은 소설 속 주인공처럼 향시만 통과해 말단 문인으로 평생을 보낸 비운의 천재다. 하지만 경전에 해박하고 천문, 의약, 수학, 음악, 음운학, 원예 등 다방면에 정통했을 뿐 아니라, 이 소설에 풀어놓은 강렬한 사회의식, 여성과 남성의 동등함을 주장하는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 통렬한 사회 비판적 풍자는 그가 시대를 앞서간 사상가였음을 보여준다. 느긋하게 열린 마음으로 읽을수록 이 소설의 진가를 느낄 수 있다. 자, 이제 장면 하나하나를 떠올리면서, 2백여 년의 시간을 훌쩍 뛰어넘어 가슴 뛰는 대장정을 떠나보자.

목차

제54회 비문을 훔치는 원숭이와 편지를 전하는 안자초
제55회 천연두 처방을 논하는 봉현과 좋은 점괘를 뽑는 홍거
제56회 사찰에서의 우연한 만남과 바다에서의 운명적 상봉
제57회 옛 친구를 그리워하는 문은과 친구를 찾아 떠나는 여승지
제58회 농우에서 대패한 사일과 산속에서 싸움을 벌이는 재옥섬
제59회 산에 숨어 군사를 모으는 낙승지와 사술
제60회 죄인을 놓친 웅 대인과 연회를 벌이는 연자경
제61회 차를 음미하는 소저들과 객을 맞이하는 연의
제62회 녹향원의 우연한 상봉과 홍문관의 모임
제63회 선행에 대한 논의와 열 명을 위한 특별시험
제64회 벼루 내기 수수께끼와 우애 깊은 자매들
제65회 점을 치는 소저와 인재를 찾는 과거
제66회 세자를 찾는 국왕과 재녀를 뽑는 태후
제67회 스승을 찾는 재녀와 표문을 전하는 국구
제68회 문염왕에 봉해진 약화와 연회에 초대받는 재녀들
제69회 예부상서의 집에 모인 재녀들
제70회 누에고치 모자와 술 단지 비연통
제71회 읍홍정에 대한 회상과 응취관에서 무르익는 정
제72회 고동대의 거문고 합주와 백출정의 부채 풍류
제73회 바둑을 논하는 요지형과 마조를 말하는 맹옥지
제74회 쌍륙의 의미와 장기의 다툼
제75회 멀리서 들리는 퉁소 소리와 창문 넘어 배우는 육임점
제76회 육임법의 핵심과 창문 뒤에서 엿듣는 홍지
제77회 옛 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풀싸움을 고안하는 재녀들
제78회 술자리의 즐거운 환담과 기발한 벌주놀이
제79회 활쏘기의 비법과 신비한 계산법
제80회 부채를 건 수수께끼와 신발을 날린 공 던지기
제81회 백출정에서 시를 논하고 응취관에서 연회를 즐기는 재녀들
제82회 주령에 따라 찾아보는 쌍성과 첩운 구절
제83회 민담과 노래가 어우러져 흥을 더하는 벌주놀이
제84회 절묘한 구절을 읊는 옥지와 진경을 낭송하는 보운
제85회 심약을 비꼬고 장강을 칭송하는 재녀들
제86회 부모 생각에 우는 효녀와 자신의 성을 빗대 웃기는 하녀
제87회 놀이를 빗대 사(詞)를 읊고 경치를 보며 월령(月令)을 따지는 재녀들
제88회 독설로 앙금을 푸는 항아와 광풍으로 분노를 쏟는 풍이
제89회 천기를 밝히고 옛일을 거슬러 올라가는 시
제90회 처량한 구절을 읊는 도사와 참담한 내용에 놀라는 재녀들
제91회 글자 바꾸기 주령과 제비를 속이는 청전
제92회 과라를 논하는 재녀와 호로를 평하는 하녀
제93회 천기를 암시하는 백화선자와 주령을 끝내는 재녀들
제94회 고향으로 돌아가는 약화와 소봉래로 향하는 규신
제95회 오랜 질별에 얽힌 의술과 새로운 인연에 펼치는 검술
제96회 충성심이 넘치는 거병과 사술이 가득한 유수진
제97회 진을 깰 비책을 암시하는 선녀와 묘책을 찾는 공자들
제98회 무화관에 도전하는 용기와 파도진에 갇히는 욕정
제99회 환영을 헤매는 장군과 속세에 내려오는 신선들
제100회 공을 세운 공다르도과 복위되는 중종

옮긴이 해설ㆍ운명과 인연의 대장정
작가 연보
기획의 말

저자소개

이여진

출판사리뷰

선계(仙界)와 인간계를 씨실로 삼고 신화와 역사를 날실로 삼아
과거와 현재, 하늘과 바다를 종횡무진 넘나들다

무한한 상상력의 대장정!
『삼국지』『수호지』『서유기』의 뒤를 잇는 중국 고전 문학의 걸작!


대산세계문학총서 108, 109권으로 소개되는 이여진(李汝珍, 1763~1830)의 『경화연(鏡花緣)』(전2권)은 선계(仙界)와 인간계를 씨실로 삼고 신화와 역사를 날실로 삼아 하늘과 바다, 과거와 현재, 경서와 속담, 시부(詩賦)와 민간놀이를 종횡무진 넘나드는 중국 문학의 대작이다. 혁신적 사고와 뛰어난 상상력, 방대한 작품 구성으로 단연 청조 문학의 으뜸이라고 일컬어진다.

현대 한국어로는 최초로 번역 소개되는 『경화연』의 원작은 1828년 초간되었으며 총 100회로 구성된 장편소설이다. 『산해경』의 자료를 바탕으로 명대 4대 기서인 『삼국지연의』 『수호지』 『서유기』 『금병매』와 청대의 『유림외사』 『홍루몽』 등의 영향을 받아 창작되었다.

『경화연』은 신화로 시작해 선녀가 속세에 떨어지면서 무측천의 집정과 중종 복위라는 역사로 들어가고, 『산해경』 속 신화와 전설을 따라 여행하면서 세태를 풍자함으로써 풍자소설, 기행소설, 사회비판소설로 분류되는 동시에 역사소설, 재학(才學)소설, 영웅전기의 특색도 두루 지닌다.

비운의 천재 작가의 꿈과 이상향이 투영된 소설
저자 이여진은 경전에 해박하고 천문, 의약, 수학, 음악, 음운학, 시가, 서예, 회화, 원예, 바둑, 수수께끼 등에 정통한 수재였다. 그러나 이여진은 소설 속 주인공인 당오처럼 향시만 통과해 말단 문인으로 평생을 보냈다. 하지만, 이 소설에 풀어놓은 강렬한 사회의식, 여성과 남성의 동등함을 주장하는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 통렬한 사회 비판적 풍자는 그가 시대를 앞서간 사상가였음을 보여준다.

자신의 재능을 맘껏 펼칠 기회가 없었던 당시 사회에 품고 있던 불만, 그리고 꿈꾸던 이상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투영시킨 『경화연』은 한편으로 저자의 꿈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고백이기도 하다. 당시 과거시험에 쓰였던 문체인 팔고문이 싫어서 과거를 포기했다는 말도 있고, 만주족의 통치하에서 한족 문인은 괄시받기 일쑤라 경전 연구에 몰두했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의 저명한 문학평론가 후스(胡適)의 고증에 따르면, 끝내 세상에서 뜻을 이루지 못한 이여진이 궁핍한 말년을 보내면서 1810~25년 15년 동안 『경화연』을 집필해 1828년에 출간했다고 한다. 작가는 속세에서 못다 펼친 재능을 이 소설에 쏟아부은 것이다. 그리하여 놀라운 상상력과 유머, 과장과 은유, 날카로운 풍자와 반어의 기법 등이 골고루 활용된 이 독특하고 참신한 소설이 창조되었다.

완성하는 데 15년, 총 100회에 이르는 방대한 구성과 내용!
: 작품의 구조

『경화연』의 구조는 당오와 당규신이라는 두 주인공을 기준으로 구분할 때 제40회를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눌 수 있으며,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서는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선계에서 백화선자가 항아와 다투고 속세에 떨어지게 되는 제1회~제6회, 당오가 처남인 임지양을 따라 해외 곳곳을 여행하다 소봉래에서 신선이 되는 제7회~제40회, 백화선자의 환생인 당소산이 아버지 당오를 찾아 해외를 다녀오는 제41회~제53회, 재녀들이 과거에 응시해 작위를 받고 놀이를 펼치는 제54회~제94회, 문운 등이 무측천을 폐위하고 중종을 복위시키는 제95회~제100회이다.

그중 최고의 백미로 꼽히는 부분은 당오의 여행기를 다룬 제7회~제40회로, 이여진은 군자국, 대인국, 여아국, 무인국 등 30여 곳을 통해 현실을 날카롭게 풍자하고 자신의 이상 세계를 투영해낸다. 그리고 이러한 소설의 구조는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이여진은 당오가 되어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없는 현실에서 한 걸음 물러섬으로써 도덕과 욕망의 환상을 여실히 드러내는 한편 무한한 상상력의 날개를 펼친다.

중국판 『걸리버 여행기』
세기와 국경을 넘어 환히 빛나는 풍자와 해학 그리고 갈망

: 작품의 내용과 특색
주인공인 당오가 『경화연』에서 여행하는 30여 개의 나라는 대부분 『산해경』을 기반으로 저자의 뛰어난 상상력과 포부, 소망, 이미지가 합쳐져 만들어진 이상향이자 별천지이며 피하고 싶은 현실의 반증이다. 그중 이상향에 대한 갈망과 해학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는 곳은 군자국과 여아국, 무장국, 양면국 등이다.

저자의 이상향인 군자국은 검소하고 겸손한 성품을 갖춘 사람들이 예의범절을 지키며 서로를 아끼는 나라로, 상인들은 낮은 가격을 받으려 하고 국왕은 보물의 상납을 법으로 금지한다. 길에서 만난 노인들이 지적하는 장례문화와 돌잔치, 소송, 전족 등과 같은 중국 사회의 폐단이나, 마지막에 그 노인들이 사실은 국왕의 총애를 받는 재상임을 알고 그들의 청렴함과 겸허함에 깜짝 놀라는 장면 등에서 이여진의 소망을 엿볼 수 있다.

여아국에서는 저자 이여진의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가 드러난다. 사실 이여진의 페미니즘은 소설 전체를 꿰뚫는 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소설은 여성도 남성과 똑같은 재능을 가졌음을 주장하며 중국 유일의 여황제 무측천의 집정 시기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여인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남녀차별이 분명했던 시기에 여인의 활약상을 그린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파격적인데, 이여진은 한층 더 나아가 남녀가 뒤바뀐 세상을 그려낸다. 여아국에서는 여자들이 바깥일을 하고 정치를 하는 반면 남자들은 치마를 입고 전족을 하며 화장을 한다. 특히 이 부분은 저자가 6회를 할애할 만큼 심혈을 기울인 부분으로 유난히 에피소드도 많고 재미있는 사건도 많이 등장한다.

무장국은 당오가 직접 들르지는 않지만 다구공과의 대화를 통해 부도덕한 치부(致富)에 일침을 가하는 곳이다. 무장국 사람들은 장이 없어서 먹는 즉시 음식을 원형 그대로 배설하는데 부자들이 그 배설물을 하인들에게 먹임으로써 부를 축적한다. 약자를 각박하게 몰아붙여 쌓은 재산이 과연 올바르다고 할 수 있는가를 해학적으로 반문하는 셈이다.

이 밖에도 구두쇠가 죽은 뒤 환생하는 모민국이나 환생을 거듭하는 무계국, 눈이 손에 붙어 있는 심목국, 현학적인 말투를 쓰는 숙사국, 가슴에 구멍이 뚫린 천흉국, 입에서 불을 뿜는 염화국, 알을 낳는 익민국, 입이 돼지주둥이처럼 생긴 시훼국, 잠을 자지 않는 백려국, 음운학으로 유명한 기설국, 네모난 사람들이 틀에 박힌 듯 살아가는 기종국 등을 통해 이여진은 자신의 이상을 형상화하고 현실을 풍자한다.

소설의 초점은 제40회를 기점으로 당오의 딸이자 백화선자의 환생인 당소산에게로 옮겨간다. 당소산은 여자의 몸으로 아버지를 찾아 먼 바닷길을 떠나면서 조금씩 자신의 본래 신분과 관련된 인물들을 만나고, 소봉래의 읍홍정에서 아버지의 편지를 받아 이름을 당규신이라 바꾼 뒤 과거에 합격할 재녀 100명의 명단을 얻는다. 그리고 아버지의 편지 내용에 따라 고향으로 돌아가고 과거에 합격한다.

이 소설은 남녀의 구분이 엄격한 봉건사회에서 여성이 과거에 합격하고 정치 활동을 하는 등, 남녀평등을 적극적으로 주장했다는 점에서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사상의 작품이었다. 실제로도 『경화연』이 출간된 뒤 수많은 질타가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그는 여성도 남성과 똑같이 문학적 재능을 부여받았다고 생각하며 더 나아가 얼마든지 문무를 겸비할 수 있다고 설정한다.

과거시험이 끝난 뒤 이어지는 재녀들의 놀이는 제69회부터 시작돼 제93회까지 이어진다. 시험관인 변빈의 집에 모여서 바둑, 마조, 투호, 낚시, 산법, 그네, 활쏘기, 풀싸움, 벌주놀이 등 다양한 놀이가 백과사전을 펼쳐놓은 듯 설명된다. 고대의 민속놀이와 풍습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박식다통한 저자의 학식을 과시한다는 일부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자, 2백 년의 시공간을 훌쩍 뛰어넘어 가슴 뛰는 대장정을 떠나보자!
작품 제목인 ‘경화연(鏡花緣)’은 ‘경화수월(鏡花水月)’이라는 사자성어에 인연(因緣)을 더한 말이다. ‘경화수월’이란 ‘거울 속의 꽃과 물속의 달’이라는 뜻으로 비현실적이고 허황된 일을 의미하는데, 이에 따라 ‘경화연’의 뜻을 더듬어보자면 ‘거울 속 꽃들의 인연’쯤으로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여진은 꿈을 실현할 길 없는 자신의 처지를 빗대 이 글을 쓴 것은 아닐까? 또한 작품 제일 마지막에 “거울의 빛이 진정한 인재를 비추고 꽃들의 형상이 새로운 소설을 만드네”라는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남김으로써 이 책을 통해 독자들과 자신이 맺은 인연을 강조하기도 했다.

총체적으로 말해 『경화연』은 당대 중국 소설사에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예술의 활로를 보여주었다. 정치적으로 뜻을 펼칠 수 없는 구조적 절망 속에서, 날카로운 사회의식과 선구적 남녀평등의식, 통렬한 풍자적 요소, 신화에서 음운학에 이르는 다양한 학식을 녹여낸 걸작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소설은 조선 시대 말 홍희복에 의해 『제일기언(第一奇言)』이란 제목으로 번역된 적이 있지만 현대어로 번역되어 출간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저자가 작품의 초두와 말미에 밝히고 있듯이, 이 이야기는 방대하면서 비현실적인 내용이라 여유로운 마음으로 읽을 때 비로소 진가를 느낄 수 있다. 열린 마음으로 상상력을 동원해 장면 하나하나를 떠올린다면, 2백여 년의 시간을 훌쩍 뛰어넘어 놀라운 여정을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