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 1 : 문서 번역집 (반양장)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 1 : 문서 번역집 (반양장)
정가 ₩34,000
판매가 ₩30,6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한울림어린이(한울림)
ISBN 9788946069589
출간일 20220401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 1 : 문서 번역집 (반양장) 수량증가 수량감소 306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러시아 현지 문서보관소에 소장된
한인 관련 사료를 통해 이제껏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과 ‘사건’을 조명한다


1921년 소비에트 정부는 공산주의운동을 수행할 지도자를 훈련·양성할 목적으로 모스크바에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설립했다. 이 대학에서 교육을 받은 대표적인 인물로 중국의 덩샤오핑, 베트남의 호찌민, 한국의 박헌영, 김단야 등을 들 수 있다. 한인학생들은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에서 공부했는데, 1924년 당시에는 120명이 재학하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만큼 많은 한인청년들이 조국의 독립과 해방을 가져다줄 항일혁명운동에 헌신하고자 마르크스·레닌주의이론을 공부하고 훈련하기를 갈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러시아문서보관소 자료집』 1권 문서 번역집과 2권 문서 모음집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디지털인문한국학연구소 토대연구단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7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추진하고 있는 연구의 성과물이다.

1권 문서 번역집은 러시아어로 된 2권 문서 모음집을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러시아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에 보관된 사료 중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와 관련된 문헌 대부분을 번역해 수록했다. 이 작업을 통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과 사건이 발굴되어, 한국 독립운동사와 사회주의운동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리라 기대한다.

목차

Ⅰ. 입학 규정·교과과정
1. 1925년 8월 5일 페트로프가 Г. Н.에게 보낸 서한
2. 1928/29학년도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입학 조건
3. 특별학부 교육사업의 방법과 조직
4.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교과목 및 대내외사업 시수
5. 사적 유물론
6. 마르크스주의 원론
7. 회의록

Ⅱ. 학생·교사 명부
8. 외국 학부 민족별 총괄(1922년 12월 18일 현재)
9. 투르크, 페르시아, 해외 동방국가 출신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입학생 명부
10. 한인 명부
11.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제적생 명부(1923년 4월 28일)
12. 제3(한인1)소조 1학년 학생 명부
13. 제6(한인2)소조 2학년 학생 명부
14. 1924년 12월 16일 자격심사위원회 결정에 따른 레닌그라드군사학교 전출자 명부
15. 외국인그루빠 한인소조 명부(1927년 2월 7일 현재)
16. 한인소조 명부
17. 한인소조
18. 제2소조 1학년 외국인그루빠 학생 명부
19. 한인 공청소조 내 러시아공청 맹원과 후보맹원 명부
20. 1928년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신입생 명부(한인)
21.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한인학생 명부
22.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학생 정보
23. 1928/29학년도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상세배정표
24.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통계 정보(1928년 11월 1일 현재)
25.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통계 정보(1928년 12월 15일)
26.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통계 정보(1929년 1월 23일 현재)
27.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특별학부 재학 중 전출된 학생 정보(1921년부터 1929년 11월 15일까지)
28.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재학생들의 당 경력
29.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학생 명부
30. 민족그루빠 성원 통계에 대한 총결보고(1929년 11월 28일 현재)
31. “A”학부 제5분과(한인분과) 학생 명부(1932년 11월 20일 현재)
32.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양부로 보낸 한인학생 명부
33. 제14분과 교원 명단

Ⅲ. 학생·교사 평정
34. 검증위원회 회의 회의록(1923년 5월 7일)
35. 금년도 파견자 선발을 위한 당3인위원회 회의록
36. 제2한인소조 평정서 논의 회의 회의록
37.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산하 외국인그루빠 5인위원회 공청 제4차 회의 회의록에서 발췌(1925년 6월 14일)
38.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산하 외국인그루빠 5인위원회 공청 제4차 회의 회의록에서 발췌(1925년 6월 14일)
39.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학생 평정
40.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학생 평정
41. 조선학부 사업평가
42.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학생선별위원회 결정
43. 특별학부 1학년 제5소조 제5차 회의 회의록(1928년 12월 18일)
44. 제6소조
45. 제6소조
46. 스탈린동방노력자공산대학 “A”학부 한인학생 명부(1931년 2월 15일 현재)
47. 당-학습 평정
48. 한인그루빠 평정
49. “A”학부 3학년 학생 평정
50. 제5분과 결산보고
51. 1932/33학년도 제5분과 졸업생 당-학습 평정
52. 제5분과 교원 평정
53. 제5분과 학생 평정
54. 제5분과 학생 평정
55. 돌격대원 평정
56. 시험 총결
57. 평정
58. 제14분과 학생 평정
59. 제14분과 교원 평정
60. 1~2월 수업계획 이행
61. 제14분과 결산보고

Ⅳ. 계획서
62. 한인그루빠 하계사업계획
63. 한인그루빠 사업계획
64. 제5분과. 1933~1934학년 1학기 민족당그루빠 사업계획
65. 1933/34학년 1학기 제5분과 민족당소조 사업 일정계획
66. 1933/34학년도 1학기 제5분과 민족당소조 뷰로사업 일정계획
67. 1935/1936학년도 제14분과 사업계획
68. 1935/1936학년도 1학기 제14분과 당 교양사업 및 대중문화사업 일정계획
69. 한인과정 6개월간 예산(30명)

Ⅴ. 보고서·성명서
70.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양부장이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 보낸 서한(1923년 3월 29일)
71.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양부 부부장이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총장에게 보낸 서한(1923년 9월 10일)
72. 성명서
73. 박이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러시아공산당(볼셰비키) 세포뷰로에 보낸 청원(1924년 8월 12일)
74. 박재모가 코민테른집행위원회와 동양부에 보낸 청원
75. 주청송 동지의 의견서
76. 프셰니찐이 스탈린에게 보낸 전문(1924년 12월 19일)
77.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총장 브로이도 동지에게 보낸 한인그루빠 정치심사 결과 보고
78. 박진순이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총장에게 보낸 청원
79. 박애가 코민테른집행위원회 상무위원회와 러시아공산당(볼셰비키)중앙위원회 상임위원회에 보낸 청원서(1925년 1월 2일)
80. 격문 1
81. 격문 2
82. 러시아공산당(볼셰비키)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중앙검열위원회에 보낸 서한(1925년 1월 10일)
83. 주청송이 조선학부 건에 대하여 위원회에 보낸 서한
84. 주청송이 보낸 의견서(1925년 5월 29일)
85. 전연방공산당(볼셰비키)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 보낸 성명
86. 전연방공산당(볼셰비키)중앙위원회 선전선동출판부에 보낸 보고서
87. 박 아니시야가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양부로 보낸 서한(1926년 6월 4일)
88. 한인 당소조....학년 당원 및 후보당원 사업 실사
89. 한인과정 당소조 당원 및 후보당원들의 사업 신고서
90. 한인 당소조 .....과정 당원 및 후보당원들의 사업 신고서
91.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양비서부에서 몰로토프, 부하린, […], 퍄트니쯔키,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총장에게 보낸 서한(1928년 9월 15일)
92.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부총장 포크롭스키가 몰로토프, 부하린, […], 퍄트니쯔키,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양비서부에 보낸 서한(1928년 9월 23일)
93.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부총장 포크롭스키가 모스크바 시 검열위원회 클리모보이에게 보낸 서한(1933년 5월 25일)

Ⅵ. 회의록
94. 한인그루빠 당3인위원회 제3차 회의 회의록(1922년 10월 24일)
95.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산하 외국인그루빠 한인소조 공산당프락치야 회의 회의록(1924년 3월 8일)
96. 세포상임위원회 회의 회의록
97. 한인그루빠 당회의 회의록 발췌문(1924년 10월 29일)
98. 1924년 […] 회의 회의록
99.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학생 검증을 위한 자격심사위원회 회의록 발췌문
100.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문제에 대한 코민테른 동양부 산하 협의회 회의록(1924년 11월 10일)
101. 외국인그루빠 자격심사위원회 회의록(1924년 11월 29일)
102.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 학생 전체의 제1차 한인그루빠 당 총회 회의록(1924년 12월 24일)
103. 당3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5년 1월 8일)
104. 당3인위원회 회의록(1925년 1월 19일)
105. 전연방공산당(볼셰비키) 당원 및 러시아공청원들의 비공개회의 회의록(1925년 1월 20일)
106.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 학생들의 학문적, 정치적 검증 문제에 대한 회의 회의록
107. 한인소조 당5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5년 4월 21일)
108. 한인그루빠 당5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5년 4월 29일)
109. 한인그루빠 당회의 회의록(1925년 5월 16일)
110. 오하묵 동지의 안을 검토하는 특별위원회 회의 회의록(1925년 5월 19일)
111. 한인그루빠 당5인위원회 제1차 회의 회의록(1925년 6월 8일)
112. 한인그루빠 당5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5년 6월 14일)
113. 한인그루빠 당5인위원회 제2차 회의 회의록(1925년 6월 16일)
114. 한인그루빠 당5인위원회 제6차 회의 회의록(1925년 8월 14일)
115. 외국인그루빠 한인 공청소조 제1차 총회 회의록(1925년 11월 5일)
116. 한인그루빠 견학생들의 당원회의 회의록(12월 28일)
117. 동방노력자공산대학 및 국제군사학교 학생들 중 책임일꾼들의 통합회의 회의록
118. 당3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6년 11월 8일)
119. 한인소조 회의 회의록(1926년 12월 7일)
120. 한인소조 당3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6년 12월 25일)
121. 조선학부 당3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7년 1월 23일)
122.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 정기 당회의 회의록
123.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 당3인위원회 긴급회의 회의록(1927년 2월 3일)
124. 조선학부 당3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7년 4월 26일)
125. 한인소조 비공개 당회의 회의록(1927년 5월 18일)
126. 한인소조 당3인위원회 통합회의 회의록(1927년 5월 15일)
127. 한인소조 당3인위원회 회의 회의록(1927년 5월 31일)
128. 동방노력자공산대학 한인소조 문제에 대한 코민테른집행위원회 회의 회의록(1927년 6월 20일)
129. 회의 회의록(1927년 6월 23일)
130. 한인과정 당소조 총회 회의록(1927년 10월 8일)
131. 한인과정 당소조 총회 제6차 회의 회의록(1927년 12월 5일)
132. 한인과정 당소조 총회 회의록(1928년 1월 20일)
133. 특별학부 2학년 제1차 회의 회의록(1928년 5월 31일)
134. 1학년과 예비과정의 제2차 회의 회의록(1928년 6월 2일)
135. .....학년 한인 당소조 총회 회의록(1928년 12월 24일)
136. 당3인위원회 회의
137. 조선학부 당3인위원회 회의
138. .....학년 […] 당소조 회의 회의록(1929년 1월 19일)
139. 한인민족소조 총회 회의록(1930년 10월 5일)
140. 한인그루빠 제2차 회의 회의록(1931년 1월 7일)
141. (한인)민족소조 회의 회의록(1931년 10월 17일)
142. 코민테른 동양비서부 3인위원회 제1차 회의 회의록(1933년 2월 20일)
143. 졸업생 평정서 승인을 위한 A분과 위원회 회의록에서 발췌(1933년 5월 22일)
144. 교사 및 학생 생산회의 회의록(1934년 12월 31일)
145. 분과 생산회의 회의록(1935년 3월 5일)
146. 1935년 6월 20일 개최된 김단야 동지의 보고 관련 회의 회의록
147. 제14분과 생산회의 회의록(1935년 12월 5일)
148. 제14분과 생산회의 회의록(1936년 1월 4일)
149. 제14분과 생산회의 회의록(1936년 2월 17일)
150. […] 자격심사위원회 회의 회의록(1936년 2월 17일)

Ⅶ. 결정·결의
151. 결정
152. 결정
153. ‘숙청’ 문제에 대한 러시아공산당, 조선공산당, 러시아공청, 고려공청 회원총회 결의
154. 한인문제위원회 결정(1925년 6월 1일)
155. 조선학부 당3인위원회 사업보고에 대한 결정
156. 제18소조 한인 당3인위원회 회의 결정(1928년 1월 6일)
157. 특별그루빠 제6당소조 비공개회의 결정
158. 특별그루빠 제6당소조 비공개회의 결정
159. 1927년 10월~1928년 5월 특별그루빠 사업에 대한 직맹위원회 위원회(КПРС) 보고에 대한 결정
160. 결의
161. 반제반식민압제투쟁연맹 회의에 부쳐

저자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디지털인문한국학연구소

출판사리뷰

공산주의 혁명가 양성 교육기관 ‘동방노력자공산대학’
그곳에서 조국의 독립을 꿈꾸었던 사람들

공산주의운동 본거지에서 교육받은 한인학생들에 대한 기록


이 책은 사료의 내용과 작성 시기에 따라 분류해 7부로 구성했다. 제1부에서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의 입학 규정과 교과과정에 관련된 문서들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수업이 어떻게 운용되었고, 어떤 내용을 가르쳤는지 등을 알아볼 수 있다.

제2부에서는 학생과 교사의 명부를 실었다. 이를 통해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교육받은 한인학생들의 이름, 출생지, 나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한인 교원의 명단도 확인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한인학생과 교사들에 대한 평가서를 실었다. 여기서는 개별 인물의 사회적 성분, 성향, 품성, 기질, 리더십, 과거 소속 당파와 당파성의 정도, 분파나 조직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

제4부에서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의 학업 및 기타 활동 계획에 대한 계획서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업과 기타 일정, 예산 편성의 내용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제5부에서는 보고서와 성명서를 소개한다. 동방노력자공산대학과 코민테른, 당선전선동부 사이에 오고간 서한, 청원서, 의견서, 격문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제6부에서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와 관련한 회의록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한인학생이 봉착했던 문제와 그들 사이의 분규들, 그에 대한 학생들 각자의 의견을 살펴볼 수 있다.

제7부에서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의 결정문 및 결의문을 소개한다. 각종 회의에서 한인문제에 대해 학교 측이 어떠한 결정을 내렸는지 살펴볼 수 있다.

사료에서 찾아낸 인물들과 그들이 마주했던 갈등

한국외국어대학교 디지털인문한국학연구소 토대연구단은 러시아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 사료를 분류·정리하면서 그동안 공산주의운동사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들을 다수 확인했다. 조선학부 학생들의 지도 그룹인 3인위원회에서 활동한 김상탁·박인원·김병률·박 니키포르·한상희·김호반·오창우·박 표도르 등을 비롯해 교원으로 활약한 황동육, 북간도와 연해주 지역의 항일무장투쟁사에 이름을 남긴 오성륜·마춘걸·김규찬·박영·박진·최동욱 등이나 시베리아내전 종결 후 연해주 지역 한인사회의 사회주의화 과정에서 지도적 역할을 한 이문현·이규선·박동희·김원 등이다. 이뿐 아니라 시베리아내전기 무장운동에 이름을 남긴 인물로서 국제사관학교에 재학 중이던 오하묵, 최자형, 박 알렉세이, 안기석, 박 표트르 등에 관한 내용도 흥미를 끈다.
한국독립운동의 어두운 면으로 지적되는 분파 문제는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도 예외 없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갈등하고 분열하면서 한인사회주의운동의 장애물이 되기도 했다.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의 학생, 간부, 교원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다. 1930년대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에서는 분파 문제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소되면서 공산주의운동이 질적으로 발전한 것도 이런 노력이 있어 가능했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