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세설신어보 5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세설신어보 5
정가 ₩40,000
판매가 ₩36,0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전통문화연구회
ISBN 9791157945542
출간일 20221230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세설신어보 5 수량증가 수량감소 360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중국 명사들의 에피소드 모음집, 대중문학의 신장르를 개척하다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는 명대(明代)의 문인인 왕세정(王世貞)(1526~1590)이 유의경(劉義慶)(403~444)이 편찬한 『세설신어(世說新語)』와 하양준(何良俊)(1506~1573)이 편찬한 『하씨어림(何氏語林)』 중에서 각각 일부분을 뽑아내어 합쳐서 만든 것이다. 『세설신어』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에 유송(劉宋)의 유의경이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 말까지 실존했던 명사(名士)들의 언행과 일화를 모아 주제별로 실어놓은 서적이다. 이 책에 실린 인물들이 실제 생존했던 사람들이고 당시의 명사들이었기 때문에 『세설신어』는 문인들의 애독서가 되었다.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저자소개

왕세정 , 김진옥, 김태훈, 남성우

출판사리뷰

《세설신어》, 에피소드 문학의 원조가 되다

《세설신어》 출현 이후 이 책의 서명, 체재, 문체 등을 모방한 속서(續書)들이 연이어 나왔다. 명나라 때 나온 《하씨어림》과 《세설신어보》도 속서 중의 하나이다. 왕세정은 《하씨어림》에서 ‘전아(典雅)하고 순정(純正)[雅馴]’한 일화를 뽑아내어 《세설신어》의 일화와 합쳐 다시 《세설신어보》를 편찬하였다. 왕세정의 《세설신어보》가 출현하자, 이 책의 인기는 원본 《세설신어》를 능가하였다. 나아가 이 책에 비점(批點)을 찍고 주석을 더한 《이탁오비점세설신어보(李卓吾批點世說新語補)》 등의 비점본(批點本)들도 성행하게 되었다.

새로운 대중적 글쓰기, 고사성어(故事成語)의 보고(寶庫)

《세설신어》는 문학예술적 측면에서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과 같은 수사학적인 유미주의(唯美主義)가 극성을 부리던 당시 문학의 흐름에서 벗어나 간결하면서도 담백한 획기적인 글쓰기로 작문되었다. 특히 인물을 묘사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용하는 언어의 간결미와 함축미는 언어예술의 품격을 한층 더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세설신어》는 ‘등용문(登龍門)’, ‘난형난제(難兄難弟)’, ‘점입가경(漸入佳境)’ 등 수많은 고사를 담은 고사성어의 보고라 할만하다. 《세설신어》는 위진남북조 시대에 유행하던 중국 고전소설의 흐름에 있어 ‘지인소설(志人小說)’이라는 독특한 유파를 정립함으로써, 근대까지 수많은 모방 작품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세설체(世說體)’ 필기 소설로 존중받고 있다.

《세설신어》의 전래

《세설신어》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최치원(崔致遠)(857~?)의 시 〈봄날의 새벽에 우연히 쓰다[春曉偶書]〉에서 《세설신어》에 나오는 유령(劉伶)의 고사를 전고(典故)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인 900년 초에 국내에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상에 《세설(世說)》이라는 명칭이 처음 언급된 것은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인데, 〈동각 오세문이 고원의 여러 학사에게 드린 300운의 시에 차운하다[次韻吳東閣世文呈誥院諸學士三百韻詩]〉라는 시에 이규보 자신이 주를 달아, “이 일은 《세설》에 보인다.[事見世說]”라 하였다. 그의 연보에 따르면 이 시는 고려 명종(明宗) 25년(1195)에 지어졌으므로, 이때에 《세설신어》가 우리나라에 존재하였다는 분명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세설신어보》의 초고속 조선유행

《세설신어보》는 선조 39년(1606)에 우리나라에 온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에 의해 전래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이의현(李宜顯)이 《도곡집(陶谷集)》에서 “명나라 사신 주지번이 가지고 와서 서경(西坰)에게 증정하여 마침내 우리나라 문인들이 즐겨 보게 되었다.”라고 하였고, 허균(許筠)이 〈세설산보주해서(世說刪補注解序)〉에서 “병오년(1606, 선조39) 봄에 주태사(朱太史, 지번(之蕃))가 조서(詔書)를 받들고 우리나라에 왔는데 -중략- 작별할 때 여러 종의 서적을 주었는데 이 책도 그중의 하나였다.”라고 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1606년에 우리나라에 전래 되었다면, 1586년에 왕세정의 《세설신어보》가 민중(?中)에서 간행되어 나온 지 약 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을 때였으니 얼마나 신속하게 이 책이 우리나라에 전파되었는지 알 수 있다.

《역주 세설신어보》 완간의 의미

전통문화연구회가 모두 5책으로 발간한 《역주 세설신어보》는 전통시대 우리나라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온 《세설신어보》를 고전번역 전문가들이 상세한 역주와 함께 완역하였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번에 간행된 5책에는 《세설신어보》 37편부터 49편까지 모두 13편을 번역하여 실었고 부록으로 색인을 실었다. 관련 분야 전공자들이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에도 손색이 없을 뿐 아니라 동양 고전에 관심 있는 지식 대중들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도 부족함이 없으리라 생각한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