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세트 - 전4권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세트 - 전4권
정가 ₩160,000
판매가 ₩144,0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태학사
ISBN 9791168101784
출간일 20230616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세트 - 전4권 수량증가 수량감소 1440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정확한 번역과 상세한 주석으로 새로 읽는
충무공 이순신의 빛나는 기록들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는 지금으로부터 228년 전인 1795년에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책으로, 충무공 이순신의 공훈은 이 책으로 인해 비로소 역사에 길이 전하게 되었다. 노산 이은상의 완역본이 출간된 이후 30여 년 만에 새 번역으로 선보이는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전4권)는 원본이 지닌 오류를 바로잡고, 그간 축적된 임진왜란 관련 연구 성과에 따라 기존 번역의 오류도 수정, 보완했다. 또한 『이충무공전서』에서 일부 생략한 ‘장계(狀啓)’와 ‘난중일기(亂中日記)’의 내용들을 모두 구분하여 수록했으며, 기존 완역본이 갖는 영웅주의나 성웅(聖雄) 사관을 탈피하여 명확한 사실 관계를 밝히는 데 힘썼다. 『이충무공전서』는 곧 정조의 새로운 근대 지향 역사의식에서 충무공을 민족의 영웅으로 자리 매김한 중심 문헌으로,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숭모는 이 책 간행에 담긴 역사 인식에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1

간행사?윤동한
축사?이태진
역주자 서문?이민웅

윤음綸音
어제신도비명御製神道碑銘

이충무공전서 권수卷首

교서敎書와 유서諭書
정헌대부의 품계를 주는 교서授正憲大夫 ?書
선전관을 보내 군사들을 위로하는 교서遣宣傳官勞軍 ?書
삼도통제사에 임명하는 교서授三道統制使 ?書
병조좌랑을 보내 군사들을 위로하고 음식을 베풀어 주는 교서遣兵曹佐郞勞軍?饋 ?書
상중喪中에 일으켜 다시 삼도통제사에 임명하는 교서起復授三道統制使 ?書
선무 1등 공신에 책봉하는 교서策宣武元勳 ?書
물길을 따라 적선을 맞아 습격하라고 명령하는 유서命從水路邀襲賊船 諭書
원균과 합세하여 적을 치라고 명령하는 유서命與元均合勢攻賊 諭書
자헌대부로 승품하는 유서陞資憲大夫 諭書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1)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一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2)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二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3)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三
수군을 거느리고 적의 돌아갈 길을 차단하라고 명령하는 유서 (4)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四
경략의 지시를 기다리라고 명령하는 유서命聽候經略 諭書
배를 정비하여 적을 무찌르라고 명령하는 유서命整船?賊 諭書
경략의 말대로 먼저 부산을 불 지르라고 명령하는 유서命依經略言先焚釜山 諭書
부총병의 지휘를 받으라고 명령하는 유서命授副摠節制 諭書
수군에게 번갈아 휴가를 주라고 명령하는 유서命迭休水兵 諭書
조총을 올려 보내라고 명령하는 유서 (1)命進鳥銃 諭書 一
조총을 올려 보내라고 명령하는 유서 (2)命進鳥銃 諭書 二
조총을 올려 보내라고 명령하는 유서 (3)命進鳥銃 諭書 三
상례대로만 하지 말고 방편을 좇으라고 명령하는 유서命從權 諭書

임금이 내려 준 제문賜祭文
영조 임금이 지어 내려 준 제문 (1)英廟御製 賜祭文 一
영조 임금이 지어 내려 준 제문 (2)英廟御製 賜祭文 二
금상[정조]이 지어 고금도 유사에 내려 준 제문當?御製古今島遺祠 賜祭文
금상[정조]이 지어 영의정을 추증한 후 내려 준 제문當?御製贈領議政後 賜祭文
선조 때, 돌아가신 후 내려 준 제문卒逝後 賜祭文 宣廟朝
선조 때, 공신록에 올린 후 내려 준 제문錄勳後 賜祭文 宣廟朝
선조 때, 충민사에 내려 준 제문忠愍祠 賜祭文 宣廟朝
현종 때, 노량 충렬사에 편액을 내려 준 제문露梁忠烈祠 賜額祭文 顯廟朝
현종이 온천에 거둥할 때 내려 준 묘제문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顯廟朝
숙종 때, 현충사에 편액을 내려 준 제문顯忠祠 賜額祭文 肅廟朝
숙종이 온천에 거둥할 때 내려 준 묘제문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肅廟朝
영조 때, 충민사에 내려 준 제문忠愍祠 賜祭文 英廟朝
영조가 온천에 거둥할 때 내려 준 묘제문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英廟朝

도설圖說
명나라 황제의 팔사물八賜物
거북선龜船
장병겸長柄鎌
사조구四爪鉤

세보世譜

연표年表

이충무공전서 권1

시詩
수군절도사 선거이宣居怡와 헤어지며 주다贈別宣水使居怡
무제 육운無題六韻
한산도에서 밤에 읊다閑山島夜吟
붙임附 ― 후일에 화답한 작품들追和諸作
무제 한 연無題一聯
붙임附 ― 책 끝에 적는다題跋
한산도가閑山島歌

잡저?著
장검에 새긴 글劒銘
붙임附 ― ‘장검에 새긴 글’에 차운하다次劒銘
체찰사 완평부원군 이원익李元翼에게 올리는 편지上體察使完平李公元翼書
붙임附 ― 대답 편지答書
도독 진린陳璘에게 답하는 편지答陳都督璘書
붙임附 ― [진 도독의] 원 편지原書
어느 숙부에게 올리는 편지上某叔書
어떤 사람에게 올리는 편지上某人書
어떤 조카에게 보내는 편지與某姪書
도사都司 담종인譚宗仁의 토벌 금지 패문牌文에 답함答譚都司宗仁禁討牌文
참판에 추증된 정운에게 제사하는 글祭贈參…判鄭運文
송나라 역사를 읽고讀宋史
각 진영의 장수들에게 약속하는 글約束各營將士文

이충무공전서 권2

장계狀啓 1
왜적의 경보로 인한 사변에 대비하는 계본 (1)因倭警待變狀 一
왜적의 경보로 인한 사변에 대비하는 계본 (2)因倭警待變狀 二
왜적의 경보로 인한 사변에 대비하는 계본 (3)因倭警待變狀 三
경상도로 구원하러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 (1)赴援慶尙道狀 一
경상도로 구원하러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 (2)赴援慶尙道狀 二
경상도로 구원하러 출전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 (3)赴援慶尙道狀 三
옥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玉浦破倭兵狀
당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唐浦破倭兵狀
견내량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見乃梁破倭兵狀
군량을 옮겨 조처하는 일을 아뢰는 계본移劃軍糧狀
부산포에서 왜적을 격파하였음을 아뢰는 계본釜山破倭兵狀
포위되었던 왜병이 도망친 일을 아뢰는 계본被圍倭兵逃還狀
정운을 이대원 사당에 추가로 배향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鄭運追配李大源祠狀
종이를 올려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封進紙地狀
전쟁 곡식을 실어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裝送戰穀狀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취소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전쟁 곡식과 진상물을 실어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裝送戰穀及方物狀

이충무공전서 권3

장계狀啓 2
유황을 내려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賜硫黃狀
의승병을 나누어 보내 요충지를 지키는 일을 아뢰는 계본分送義僧把守要害狀
피란민에게 돌산도에 들어가 살면서 농사짓도록 명령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令流民入接突山島耕種狀
수륙의 여러 장수에게 웅천을 바로 공격하라 명령하신 것에 대한 장계令水陸諸將直?熊川狀
적을 무찌른 일을 아뢰는 계본討賊狀
통선 1척이 전복된 뒤에 죄를 기다림을 아뢰는 장계統船一?傾覆後待罪狀
수군에 소속된 고을의 수령들은 해전에만 전속시켜 주시도록 청하는 계본請舟師屬邑守令專屬水戰狀
광양현감 어영담의 유임을 청하는 계본請光陽縣監魚泳潭仍任狀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취소해 주시기를 거듭 청하는 계본申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충청도 수군이 계속 후원하도록 해 주실 것을 청하는 장계 (1)請湖西舟師繼援狀 一
충청도 수군이 계속 후원하도록 해 주실 것을 청하는 장계 (2)請湖西舟師繼援狀 二
왜선을 쫓아낸 일을 아뢰는 장계逐倭船狀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陳倭情狀
화포를 올려 보내는 일을 아뢰는 계본封進火砲狀
해전과 육전에 관한 일을 자세히 아뢰는 계본條陳水陸戰事狀
사로잡혔던 이가 보고한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登聞被擄人所告倭情狀
조총을 올려 보내는 일을 아뢰는 장계封進倭銃狀
본영으로 돌아가는 일을 아뢰는 계본還營狀
왜인 포로가 고한 왜군의 정세를 보고하는 계본登聞擒倭所告倭情狀
어영담을 조방장으로 임명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以魚泳潭爲助防將狀
쇠를 거두기 위한 공문과 유황을 내려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下納鐵公文兼賜硫黃狀
문신으로 종사관을 임명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以文臣差從事官狀
연해의 군병·군량·병기를 수군에 전속시켜 주시기를 요청하는 계본請沿海軍兵糧器全屬舟師狀
둔전을 설치하는 것을 허락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設屯田狀
수군에 소속된 고을은 육군에 배정하지 마시도록 청하는 계본請舟師所屬邑勿定陸軍狀
진중에서 과거 보는 일을 청하는 계본請於陣中試才狀
연해의 군병·군량·무기 등을 옮겨 가지 말도록 명령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沿海軍兵糧器勿令遞移狀

이충무공전서 권4

장계狀啓 3
승장의 위조문서를 봉하여 올려 보내는 계본封進僧將僞帖狀
배경남을 수군에 소속시켜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以裵慶男屬舟師狀
수륙군을 바꾸어 방비시키는 일을 헤아려 조처하시기를 청하는 계본請量處水陸換防事狀
방비군의 결원을 낸 수령을 군법에 따라 처벌할 것을 청하는 계본闕防守令依軍法決罪狀
왜적의 정세를 아뢰는 달본陳倭情狀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취소해 주시기를 다시 청하는 달본更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진으로 돌아가는 일을 아뢰는 달본 (1)還陣狀 一
진으로 돌아가는 일을 아뢰는 달본 (2)還陣狀 二
흥양 목관을 교체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改差興陽牧官狀
해안 고을이 수륙군에 교대로 침해당하는 폐단을 금지시켜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禁沿邑水陸交侵之弊事狀
충청 수군절도사에게 빨리 도착하도록 재촉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忠淸水軍節度使催促到陣狀
지체하는 여러 장수들의 처벌을 청하는 계본請罪遲留諸將狀
여러 의병장에게 상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賞義兵諸將狀
여도만호 김인영에게 상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賞呂島萬戶金仁英狀
군량을 조처해 주시기를 청하는 계본請措劃軍糧狀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陳倭情狀
당항포 승첩을 아뢰는 계본唐項浦破倭兵狀
기한을 어긴 여러 장수의 처벌을 청하는 계본請罪過期諸將狀
무과 특별 시험을 베푼 것을 아뢰는 계본設武科別試狀
왜병을 정탐한 내용을 아뢰는 계본哨探倭兵狀
왜군의 정세를 아뢰는 계본陳倭情狀
수군 소속의 여러 장수에게 교대로 휴가를 실시한 일을 아뢰는 달본舟師所屬諸將休番狀
방비군을 결석시킨 여러 장수의 처벌을 청하는 계본請罪闕防諸將狀
조총을 올려 보내는 장계封進鳥銃狀
방답첨사를 선정하여 임명해 주시기를 청하는 장계請防踏僉使擇差狀
충청도 전선이 기한에 맞춰 도착하기를 청하는 장계請忠淸戰船刻期回泊狀
의원을 보내 전염병을 구호하시기를 청하는 장계請送醫救?狀

『이충무공전서』 이외의 장계
적의 귀로를 차단하라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1)
적의 귀로를 차단하라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2)
적의 귀로를 차단하라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3)
배를 정비하여 적을 무찌르라고 명령하는 유서를 받았음을 아뢰는 장계
일족을 침해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아뢰는 장달
진중에서 과거 보이는 일을 청하는 장달
적을 무찌르도록 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을 아뢰는 장달

*별책 부록: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찾아보기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2

이충무공전서 권5 - 난중일기 1


임진년壬辰年[1592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8월

계사년癸巳年[1593년] 2월
3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이충무공전서 권6 - 난중일기 2

갑오년甲午年[1594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을미년乙未年[159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이충무공전서 권7 - 난중일기 3

을미년乙未年[1595년]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병신년丙申年[1596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윤8월
9월
10월

이충무공전서 권8 - 난중일기 4

정유년丁酉年[1597년]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무술년戊戌年[1598년] 1월
9월
10월
11월

*별책 부록: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찾아보기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3

이충무공전서 권9 - 부록 1


행록 (1)行錄
행록 (2)又

이충무공전서 권10 - 부록 2

행장行狀
시장諡狀
전라좌수영대첩비全羅左水營大捷碑
명량대첩비鳴梁大捷碑
노량묘비露梁廟碑
신도비神道碑
고화도유허비高和島遺墟碑
제승당유허비制勝堂遺墟碑
전승대비戰勝臺碑

이충무공전서 권11 - 부록 3

충민사기 (1)忠愍祠記 一
충민사기 (2)忠愍祠記 二
통제영충렬사기統制營忠烈祠記
통제영충렬사비의 뒷면에 새긴 글統制營忠烈祠碑陰記
동령소갈기東嶺小碣記
동령소갈의 뒷면에 새긴 글東嶺小碣陰記
무덤 표석의 뒷면에 새긴 글墓表陰記
고금도유사기古今島遺祠記
제승당기制勝堂記
충렬사를 고쳐 지은 기문忠烈祠重修記
충민사 재실에 대한 기忠愍祠齋室記
제승당을 고쳐 지은 기문制勝堂重修記
가승 서문家乘序
가승 발문 (1)家乘跋 一
가승 발문 (2)家乘跋 二
장계 초본 발문狀啓草本跋
사원록祠院錄
충민사忠愍祠
충무사忠武祠
충렬사 (2)忠烈祠 二
현충사顯忠祠
유사遺祠
유묘遺廟
월산사月山祠
유애사遺愛祠
충효당忠孝堂
초가로 된 사당草廟

이충무공전서 권12 - 부록 4

죄 없는 이순신을 변명하여 구원하는 차자伸救箚
통제사 이순신에게 드리는 편지與李統制書
이 통제사를 제사 지내는 글 (1)祭李統制文 一
이 통제사를 제사 지내는 글 (2)祭李統制文 二
이 충무공의 무덤에 제사하는 글祭李忠武墓文
현충사에 봉안할 때 제사하는 글顯忠祠奉安祭文
현충사 상량문顯忠祠上樑文
거북선을 노래하다龜船頌
상아로 만든 홀에 새긴 글牙笏銘
금대에 대한 명金帶銘
금배에 대한 명金盃銘
한산도에서 선유하면서, 이 통제사에게 올림宣諭閑山島呈李統制
당포에서 이 통제사에게 올림唐浦呈李統制
이 통제사에 대한 만시挽李統制
좌수영左水營
충민사 (1)忠愍祠 一
충민사 (2)忠愍祠 二
이 통제사를 애도하다哀李統制
복파관伏波館
영파당寧波堂
이 통제사를 슬퍼하다感李統制
충간공 윤계의 시에 차운하다次尹忠簡公韻
이순신 장군을 애도하다悼李將軍
이 충무공을 애도하다哀李忠武
노량 충렬사에서 짓다題露梁忠烈祠
충무공 행장을 읽고 느낌이 있어 시를 짓다讀忠武公行狀有感
통제사 이순신 공의 묘소에 들러 짓다過統制使李公墓
이 통제사를 애도하다哀李統制
태평정太平亭
충민사에서 짓다題忠愍祠
노량에서 이 통제사를 애도하다露梁弔李統制
영등포에서 배를 타고 통영을 향하다自永登浦乘船向統營
이순신 장군을 애도하다弔李將軍
충렬사 (1)忠烈祠 一
충렬사 (2)忠烈祠 二
충렬사 (3)忠烈祠 三

이충무공전서 권13 - 부록 5, 기실 상紀實上

○ 『명사明史』 진린전陳璘傳에서
○ 『명사明史』 등자룡전鄧子龍傳에서
○ 『명사고明史藁』 진린전에서
○ 『명사고明史藁』 등자룡전에서
○ 『명사明史』 기사본말記事本末에서
○ 서희진徐希震의 『동정기東征記』에서
○ 『국조보감國朝寶鑑』에서
○ 『선묘중흥지宣廟中興志』에서
○ 『문헌비고文獻備考』에서
○ 『소대연고昭代年考』에서
○ 『징비록懲毖錄』에서
○ 『청야만집靑野?輯』에서
○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 『제승방략制勝方略』에서
○ 『조야첨재朝野僉載』에서

이충무공전서 권14 - 부록 6, 기실 하紀實下

○ 『서애집西厓集』에서
○ 『상촌집象村集』에서
○ 『난중잡록亂中雜錄』에서
○ 『춘파록春坡錄』에서
○ 『화국지和國志』에서
○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
○ ?부산기사釜山記事?에서
○ ?우암어록尤庵語錄?에서
○ 『삼절유고三節遺稿』에서
○ 『덕수이씨세보德水李氏世譜』에서
○ 『우산집』 변백사제장사론牛山集辨白沙諸將士論에서
○ 『반곡집盤谷集』에서
○ 『겸암집謙庵集』에서
○ 『죽창한화竹窓閑話』에서
○ 『기재집寄齋集』에서
○ 『국포쇄언菊圃?言』에서
○ 『하담자유고荷潭子遺稿』에서
○ 『사설僿說』에서
○ 『방부인전方夫人傳』에서
○ 『이씨가장李氏家狀』에서
○ ?이충민공봉상신도비李忠愍公鳳祥神道碑?에서
○ ?정승 유성룡의 시장柳相成龍諡狀?에서
○ ?정승 정탁의 묘지명鄭相琢墓誌銘?에서
○ ?정승 정언신의 신도비鄭相彦信神道碑?에서
○ ?정승 이덕형의 묘지명李相德馨墓誌?에서
○ ?정씨가승丁氏家乘?에서
○ ?유형의 행장柳珩行狀?에서
○ ?유형의 신도비柳珩神道碑?에서
○ ?이순신의 묘갈명李純信墓碣銘?에서
○ ?안홍국의 시장安弘國諡狀?에서
○ ?배흥립의 비명裴興立碑名?에서
○ ?송대립전宋大立傳?에서
○ ?신호의 시장申浩諡狀?에서
○ ?송여종의 비명宋汝悰碑銘?에서
○ ?정운희의 행장丁運熙行狀?에서
○ ?마씨가장馬氏家狀?에서
○ ?최씨가장崔氏家狀?에서
○ ?제만춘전諸萬春傳?에서
○ ?이씨유록李氏遺錄?에서
○ 『충렬사지忠烈祠志』에서
○ 『택리지擇里志』에서
○ 『승평지昇平志』에서
○ 『해남현지海南縣志』에서
○ 『진도군지珍島郡志』에서
○ 『흥양현지興陽縣志』에서
○ 『영암군지靈巖郡志』에서
○ 『강진현지康津縣志』에서
○ 『장흥부지長興府志』에서
○ 『창평현지昌平縣志』에서
○ 『나주목지羅州牧志』에서
○ 『방답진지防踏鎭志』에서
○ 『호남지湖南志』에서
○ ?호남기문湖南記聞?에서
○ 『거제부지巨濟府志』에서
○ 『안동부지安東府志』에서
○ 『영천군지永川郡志』에서
○ 『영양현지英陽縣志』에서
○ 『아산현지牙山縣志』에서
○ 『해미현지海美縣志』에서
○ 『직산현지稷山縣志』에서
○ 『진천현지鎭川縣志』에서
○ 『평택현지平澤縣志』에서
○ 이충무공전서 지李忠武公全書識

*별책 부록: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찾아보기

영인 이충무공전서

綸音
碑銘
李忠武公全書 ?目

李忠武公全書 卷首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首

敎諭
授正憲大夫 ?書
遣宣傳官勞軍 ?書
授三道統制使 ?書
遣兵曹佐郞勞軍?饋 ?書
起復授三道統制使 ?書
策宣武元勳 ?書
命從水路邀襲賊船 諭書
命與元均合勢攻賊 諭書
陞資憲大夫 諭書
命率舟師截賊歸路 諭書



命聽候經略 諭書
命整船?賊 諭書
命依經略言先焚釜山 諭書
命授副摠節制 諭書
命迭休水兵 諭書
命進鳥銃 諭書


命從權 諭書

賜祭文
英廟御製 賜祭文

當?御製古今島遺祠 賜祭文
當?御製贈領議政後 賜祭文
卒逝後 賜祭文 宣廟朝
錄勳後 賜祭文 宣廟朝
忠愍祠 賜祭文 宣廟朝
露梁忠烈祠 賜額祭文 顯廟朝
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顯廟朝
顯忠祠 賜額祭文 肅廟朝
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肅廟朝
忠愍祠 賜祭文 英廟朝
溫泉 行幸時 賜墓祭文 英廟朝

圖說

世譜

年表

李忠武公全書 卷之一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一


贈別宣水使居怡
無題六韻
閑山島夜吟
無題一聯
閑山島歌

?著
劒銘

上體察使完平李公元翼書
答陳都督璘書
上某叔書
上某人書

與某姪書
答譚都司宗仁禁討牌文
祭贈參判鄭運文
讀宋史
約束各營將士文

李忠武公全書 卷之二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二

狀啓 一
因倭警待變狀


赴援慶尙道狀


玉浦破倭兵狀
唐浦破倭兵狀
見乃梁破倭兵狀
移劃軍糧狀
釜山破倭兵狀
被圍倭兵逃還狀
請鄭運追配李大源祠狀
封進紙地狀
裝送戰穀狀
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裝送戰穀及方物狀

李忠武公全書 卷之三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三

狀啓 二
請賜硫黃狀
分送義僧把守要害狀
請令流民入接突山島耕種狀
令水陸諸將直?熊川狀
討賊狀
統船一?傾覆後待罪狀
請舟師屬邑守令專屬水戰狀
請光陽縣監魚泳潭仍任狀
申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請湖西舟師繼援狀

逐倭船狀
陳倭情狀
封進火砲狀
條陳水陸戰事狀
登聞被擄人所告倭情狀
封進倭銃狀
還營狀
登聞擒倭所告倭情狀
請以魚泳潭爲助防將狀
請下納鐵公文兼賜硫黃狀
請以文臣差從事官狀
請沿海軍兵糧器全屬舟師狀
請設屯田狀
請舟師所屬邑勿定陸軍狀
請於陣中試才狀
請沿海軍兵糧器勿令遞移狀

李忠武公全書 卷之四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四

狀啓 三
封進僧將僞帖狀
請以裵慶男屬舟師狀
請量處水陸換防事狀
闕防守令依軍法決罪狀
陳倭情狀
更請反汗一族勿侵之命狀
還陣狀

請改差興陽牧官狀
請禁沿邑水陸交侵之弊事狀
請忠淸水軍節度使催促到陣狀
請罪遲留諸將狀
請賞義兵諸將狀
請賞呂島萬戶金仁英狀
請措劃軍糧狀
陳倭情狀
唐項浦破倭兵狀
請罪過期諸將狀
設武科別試狀
哨探倭兵狀
陳倭情狀
舟師所屬諸將休番狀
請罪闕防諸將狀
封進鳥銃狀
請防踏僉使擇差狀
請忠淸戰船刻期回泊狀
請送醫救?狀

李忠武公全書 卷之五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五

亂中日記 一
壬辰
癸巳

李忠武公全書 卷之六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六

亂中日記 二
甲午
乙未

李忠武公全書 卷之七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七

亂中日記 三
乙未
丙申

李忠武公全書 卷之八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八

亂中日記 四
丁酉
戊戌

李忠武公全書 卷之九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九

附錄 一
行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十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十

附錄 二
行狀
諡狀
全羅左水營大捷碑
鳴梁大捷碑
露梁廟碑
神道碑
高和島遺墟碑
制勝堂遺墟碑
戰勝臺碑

李忠武公全書 卷之十一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十一

附錄 三
忠愍祠記

統制營忠烈祠記
統制營忠烈祠碑陰記
東嶺小碣記
東嶺小碣陰記
墓表陰記
古今島遺祠記
制勝堂記
忠烈祠重修記
忠愍祠齋室記
制勝堂重修記
家乘序
家乘跋

狀啓草本跋
祠院錄
忠愍祠
忠武祠
忠烈祠 二
顯忠祠
遺祠
遺廟
月山祠
遺愛祠
忠孝堂
草廟

李忠武公全書 卷之十二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十二

附錄 四
伸救箚
與李統制書
祭李統制文

祭李忠武墓文
顯忠祠奉安祭文
顯忠祠上樑文
龜船頌
牙笏銘
金帶銘
金盃銘
宣諭閑山島呈李統制
唐浦呈李統制
挽李統制
左水營
忠愍祠

哀李統制
伏波館
寧波堂
感李統制
次尹忠簡公韻
悼李將軍
哀李忠武
題露梁忠烈祠
讀忠武公行狀有感
過統制使李公墓
哀李統制
太平亭
題忠愍祠
露梁弔李統制
自永登浦乘船向統營
弔李將軍
忠烈祠



李忠武公全書 卷之十三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十三

附錄 五
紀實 上

李忠武公全書 卷之十四 目錄

李忠武公全書 卷之十四

附錄 六
紀實 下

저자소개

, 이민웅, 정진술, 양진석, 김경숙, 노영구, 이현진, 김남기

출판사리뷰

노산 이은상 역주본 이후 30여 년 만의 결실
한 기업인의 독지에 의한 역사학계의 경사


지금까지 『이충무공전서』 역주본은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 선생이 낸 것 하나뿐이었다. 문학가였던 노산 선생은 광복 후 『이충무공전서』 우리말 번역을 시도하여 1960년 5월에 처음으로 국역본을 출간했으나, 여러 가지 미진한 점이 많아 스스로 폐간하고, 새로이 사료를 수집하고 현지 답사를 통해 사실을 확인하는 등 재출판 집필에 심혈을 기울이다가 1982년 별세하였다. 그 후 성문각(成文閣)에서 고인이 남긴 원고를 정리하여 양장본 상?하권과 원본 영인판을 함께 묶어 1989년에 『완역 이충무공전서』를 출판하였고, 이 책은 오늘날 충무공에 관한 연구와 대중적 관심에 크게 부응해 왔다.

이번에 출간된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를 기획한 (재)석오문화재단 한국역사연구원의 이태진 원장은 1989년 출간된 『완역 이충무공전서』가 “역사학적으로 채워져야 할 것이 많은 책”이었다고 하면서, “오히려 역사학자들이 이를 대신하는 전문적인 역주본을 진작 세상에 내놓았어야 했다.”고 말한다. 노산 선생 역주본 이후 30여 년 만에 학계 전공자들이 최선을 다한 ‘신정역주본(新訂譯註本)’이 출간에 이르렀는데, 이 환호할 만한 사업이 한 기업인의 독지(篤志)로 이루어졌다는 것 또한 세상에 울리는 경종의 의미가 크다.

이 책은 석오문화재단 윤동한 이사장(한국콜마 회장)의 열의로 시작되어 맺어진 결실로 윤 회장은 간행사에서 이 책 발간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이충무공전서』 역주본을 새로 출간해야 한다는 생각을 오래전부터 하고 있었지만 방대한 작업 분량과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을 모아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쉬이 결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사실 정부가 이 사업에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여러 경로를 통해서 살펴보니 『이충무공전서』 역주 사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과 절차가 필요했다. 더 급한 번역 사업이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미력하나마 직접 나서서 『이충무공전서』 역주 사업을 시작해 보기로 결심하고 도움을 받기로 했다. 마침 석오문화재단은 부설 한국역사연구원을 설립, 운영하고 있었고, 국사편찬위원장을 지내고 서울대 명예교수로 계신 이태진 교수님이 연구원 원장으로 계신 덕분으로 이 사업을 심도 있게 의논할 수 있었다.”

윤동한 회장은 ‘이순신의 열렬한 팬’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동안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여해재단에서 ‘이순신학교’를 설립해 지금까지 18기 500여 명의 ‘작은 이순신’ 수료생을 배출하는 등 저변을 넓혀 왔으며, 개인적으로도 『80세 현역 정걸장군』(2019)과 『조선을 지켜낸 어머니』(2022) 두 책을 내면서 충무공과 관련된 여러 분야를 공부하고 있다.

학계 전문가 7인의 2년여 역주 작업
200자 원고지 7471매, 역주본 3권 1400쪽, 각주 5069개


이번 『이충무공전서』의 ‘신정역주’ 작업은 이민웅 대구가톨릭대 석좌교수(해군사관학교 명예교수)의 책임 아래 정진술 전 문화재전문위원, 양진석 전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관, 김경숙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노영구 국방대 군사전략학과 교수, 이현진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 부교수, 김남기 안동대 한문학과 교수 등 7인의 노력이 깃들이 성과이다.

2020년 10월 번역에 착수한 이래 2년여 만에 번역 작업을 끝내고 7개월간의 편집 끝에 출간된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전4권)는 신정역주본 3권이 200자 원고지 7471매, 1400쪽으로 수록된 방대한 분량이며, 각주가 5069개에 이른다. 여기에 384쪽짜리 영인본과 별책 부록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찾아보기’가 덧붙어 있다.

『이충무공전서』의 가치

『이충무공전서』는 충무공의 업적을 전하는 가장 중요한 문헌이다. 이 책은 지금으로부터 228년 전인 1795년(충무공 이순신 탄신 250주년 되는 해)에 정조(正祖)의 어명으로 편찬되었다. 충무공의 공훈은 이 책의 편찬으로 비로소 제대로 역사에 길이 전하게 되었다. 『이충무공전서』는 충무공의 공훈을 체계적으로 한자리에 모은 문헌적 가치뿐만 아니라,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정조의 열렬한 충무공 숭모 정신의 산물이란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정조는 규장각 각신(閣臣)들에게 ‘전서’의 편찬을 명하고 손수 충무공 이순신의 비문을 지어 이 책의 머리에 실었다. 조선왕조 일대에 왕명으로 신하의 문집이 편찬된 예도 없거니와 왕이 신하의 비문을 지어 내린 예도 없다. 실로 특별한 예우가 아닐 수 없다.

정조는 재위 중에 충무공 외에도 규장각에서 외적 격퇴에 공로가 컸던 인물들의 전기(傳記)·전서(全書)를 편찬하게 하였다. 호란 때 활약한 임경업과 정봉수·정기수 형제의 것으로 『임충민실기(林忠愍實記)』(1791)와 『용성쌍의록(龍城雙義錄)』(1794)을 편찬하게 하였다. 그리고 임진왜란 극복에서는 『이충무공전서』(1795)와 함께 남원에서 활약한 양대박의 공적을 담은 『양대사마실기(梁大司馬實記)』(1800)를 내게 하였다. 정조는 1791년부터 근 10년간 왜란, 호란을 극복하여 왕조를 보전하는 데 크게 이바지한 인물들의 역사를 국가사업으로 추진하였다. 단순한 실기를 넘어 문집의 형식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는 그 가운데서도 가장 비중이 큰 것이었다.

정조는 백성은 곧 군주의 분신이라는 ‘군민일체(君民一體)’의 철학을 가졌고, 역대 선왕들의 왕릉 참배를 구실로 궁성과 도성 바깥으로 나가 백성들을 직접 만나는 ‘능행(陵幸) 정치’를 폈다. 그리고 재위 24년째가 되던 해에 ‘내 백성으로 노비와 같이 천대받는 존재는 없어야 한다’는 결단으로 공·사 노비의 전면 혁파를 결정하였다. 이 결정은 우리 역사를 크게 바꾸어 놓을 수 있는 대사였지만 불행하게도 왕은 이 결정을 내린 뒤 심한 피부병에 시달리다가 수개월 만에 운명하였다. 그는 양반 사대부만의 왕이 아니라 온 백성의 왕이 되고자 하였다. 이런 사상을 가진 군주가 추진한 외침 극복 영웅들의 일대기 편찬은 곧 민족 영웅 발굴의 근대 지향 역사의식의 소산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충무공전서』는 곧 정조의 새로운 근대 지향 역사의식에서 충무공을 민족 영웅으로 자리매김한 중심 문헌으로서, 충무공에 대한 우리의 숭모는 마땅히 이 ‘전서’ 출현에 담긴 역사 인식부터 알고 시작해야 할 것이다.
─ 이태진,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 출간을 기리며」 중에서

『정조실록』 권43, 1795년 9월 14일 기사와 『이충무공전서』의 「윤음(綸音)」 3편을 쓴 판중추부사 이병모의 작성 날짜를 보면 9월 중순에 인쇄를 시작해서 이해 연말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전서』 권14의 말미에는 출간 비용과 반사처(頒賜處)에 대한 기록이 있다. 창덕궁 규장각 왼편의 서고(西庫)에 들이는 것 외에 5대 사고(史庫)에 한 건씩, 그 외에 홍문관, 성균관, 순천 충민사, 해남 충무사, 남해 충렬사, 통제영 충렬사, 아산 현충사, 강진 유사(遺祠), 거제 유묘(遺廟), 함평 월산사, 정읍 유애사, 온양 충효당, 착량 초묘(草廟) 등 13개 처에 내려졌으므로, 대략 25권 내외가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전서』만 해도 대략 10여 질이 넘는다.

『신정역주 이충무공전서』의 주요 특징

─ 『이충무공전서』 신정역주본은 권수(卷首)부터 권14까지 총 15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은상 역주본에는 1934년에 보유(補遺)로 추가된 권15~16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신정역주본에서는 수록하지 않았다. 원래 『이충무공전서』에 포함되지 않았을뿐더러, 그 내용의 오류 등 문제가 심각하고, 사료로서의 역사적 가치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 신정역주본에서는 그동안 축적된 임진왜란 분야의 연구 업적을 반영하여, 기존 오류를 가능한 범위에서 수정, 보완하였다. 특히 지명(地名)이나 인물, 그리고 용어 등 다양한 오류를 바로잡고 그 근거를 각주로 제시하였다.

─ 권2~4의 ‘장계 1~3’과 권5~8의 ‘난중일기’ 부분은 『이충무공전서』 편집 과정에서 생략된 부분이 적지 않은데, 이 생략된 부분까지도 함께 볼 수 있도록 『이충무공전서』 원본 내용과 구별하여 번역 수록하였다.

─ 이은상 역주본이 갖는 영웅주의나 성웅(聖雄) 사관에서 탈피하여, 역사적 사실과 다를 경우 명확한 사실을 밝혔고, 관련된 서술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 『이충무공전서』가 이순신 사후 200년이 되어 가는 시점에 편찬, 간행되었기 때문에, 편집 과정의 단순한 오탈자는 물론이고, 잘못 옮겨진 내용이라든가 원본과는 다른 내용이 들어간 것 등이 있는데, 이를 대부분 바로잡거나 각주로 설명을 붙였다.

『이충무공전서』의 간략 내용 소개

이 책은 국왕의 명으로 간행되었기 때문에, 책 맨 앞에 서문 격인 ‘윤음(綸音)’ 3편과 ‘어제 비명(御製碑銘)’이 실려 있는데, 비문에 적힌 이순신의 생애와 공적에 대한 정조의 서술 내용은 유려하면서도 비교적 과장 없이 정확한 편이라는 것이 특기할 만하다.

권수(卷首)는 교서(敎書) 6편과 유서(諭書) 11편, 그리고 왕대별 ‘사제문(賜祭文)’ 13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제문은 영조와 정조의 어제(御製) 4편을 앞에 두고, 나머지는 선조부터 영조까지 시기별로 나열하였다. 그 외에 ‘도설(圖說)’과 충무공 이순신의 ‘세보(世譜)’와 ‘연표(年表)’가 포함되어 있다.

권1은 이순신의 ‘시(詩)’ 5수와 ‘잡저(雜著)’ 12편이 실려 있다. 시 중에는 유명한 「한산도에서 밤에 읊다(閑山島夜吟)」와 이 시에 대한 27명의 차운(次韻) 3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잡저에는 「장검에 새긴 글」을 비롯해서 「체찰사 완평부원군 이원익에게 올리는 편지」와 답서(答書) 등 11편의 글이 실려 있다.

권2~4는 이순신이 국왕과 조정에 보고한 문서를 모은 ‘장계(狀啓) 1~3’이다. 국보 76호로 『난중일기』와 함께 지정된 『임진장초』를 비롯해서 몇 종류의 등초(謄草) 장계를 토대로 임진년(1592), 계사년(1593), 갑오년(1594)으로 각 권을 나누었다. 모두 71편의 보고서가 실려 있는데, 변방의 장수가 국왕에게 직접 보고한 계본(啓本)이 49편으로 가장 많고, 승정원을 통해 보고한 장계가 18편, 그리고 왕세자에게 보고한 달본(達本)이 4편이다.

권2는 이순신이 첫해 해전에서 활약한 주요 내용을 포함해서, 임진왜란 초기의 조선 수군과 관련된 여러 상황을 알려 주는 14편의 계본과 3편의 장계로 구성되어 있다.

권3은 첫해 해전 결과 일본 수군이 조선 수군과의 직접 대결을 회피했기 때문에, 전투 관련 보고서는 2~3월 진행된 웅천 지역 공략 작전에 대한 「적을 무찌른 일을 아뢰는 계본」 외에는 없다. 주로 수군 전력 유지에 필요한 보고나 요청 사항을 아뢰는 보고서가 절반이 넘는 14건에 이른다. 그 외에 일본 수군의 정황을 보고하는 보고서가 3건, 수군 전력 유지가 어려운 상황에서 병력과 군기 등을 육군에 배정하지 말고 수군에 전속시켜 주도록 요청하는 보고서가 5건 등 전쟁 2년째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는 보고서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권4는 해전 관련 보고인 「당항포 승첩을 아뢰는 계본」 외에, 계사년과 마찬가지로 수군 전력 유지를 위해 조정에 요청하는 보고서가 15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왜군의 정황을 보고한 것이 3건, 소속 장수나 관원의 임명이나 시상, 처벌을 요청한 보고서가 11건이다.

권5~8은 ‘난중일기’로, 권5는 임진년(1592)부터 계사년(1593)까지, 권6은 갑오년(1594) 초부터 을미년(1595) 5월까지, 권7은 을미년(1595) 6월부터 병신년(1596)까지, 권8은 정유년(1597)부터 무술년(1598)까지의 일기를 담고 있다.

신정역주본에서는 『이충무공전서』에서 생략한 원문 텍스트까지 구분하여 수록했는데, 생략된 내용들은 잦은 음주 장면, 이순신 개인의 중요하지 않은 일상사, 날씨,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군사적 상황 보고나 조처, 모친에 관한 것을 제외한 이순신의 가정사,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엄격한 군율을 적용한 일들, 바둑?장기 등 놀이 또는 야간에 피리를 부는 등 진중의 오락 관련 내용, 군량 마련을 위해 기울인 노력들, 부하 장수들과의 불편한 관계에 대한 기록, 개인적인 건강 관리 내용, 『난중일기』 원본 사이사이에 있던 ‘일기 외 기사’(계본이나 장계의 초안, 서신의 초안, 풍문, 한시나 독후감 등) 등이다.

권9~14는 ‘부록 1~6’으로, 이순신에 대한 후대의 기록을 망라한 자료집 성격을 띤다. 권9는 이순신의 조카 이분이 기록한 「행록(行錄)」과 판관 홍익현이 지은 짧은 「행록」으로 구성되었다. 이분의 「행록」은 이순신의 탄생부터 전사(戰死)까지의 일대기와 사후의 치제(致祭), 공신 책봉, 시호(諡號), 가족 관계 등 기본적인 내용을 모두 담고 있어서, 후대의 전기나 소설 등의 토대가 되고 있다.

권10은 승지 최유해의 「행장(行狀)」, 대제학 이식의 「시장(諡狀)」, 영의정 이항복의 「전라좌수영대첩비」, 대제학 이민서의 「명량대첩비」, 문정공 송시열의 「노량묘비」, 영의정 김육의 「신도비」, 영부사 남구만의 「고화도유허비」, 도사 정기안의 「제승당유허비」, 그리고 홍문제학 조명정의 「전승대비」로 구성되어 있다. 글쓴이들의 면모가 화려함을 알 수 있다.

권11은 이항복의 「충민사기」를 비롯해서 통제영 충렬사, 제승당, 노량 충렬사, 고금도 유사 등에 관련된 기록이 11건이고, 『충무공가승』의 서문과 발문, 『장계초본』의 발문, 그리고 이순신을 모신 전국의 사원을 소개한 윤행임의 사원록 등으로 꾸며져 있다.

권12는 우의정 정탁의 「죄 없는 이순신을 변명하여 구원하는 차자」를 비롯해서 이순신에 대한 서신, 제문, 「거북선을 노래하다」, 각 지역을 돌며 그를 기념한 글과 한시 등 32편의 글로 구성되었다. 주로 이순신에 대한 제문, 시문 등으로, 역사적 가치와 함께 문학적 가치가 돋보이는 내용이라 하겠다.

권13~14는 ‘부록 5~6’으로, 기실(紀實) 상·하로 되어 있다. 이순신 사후부터 당대까지 작성된 그와 관련된 자료를 망라해서 편집한 것이다. 권13은 『명사(明史)』, 『명사고(明史考)』 등 중국 자료를 필두로, 『국조보감(國朝寶鑑)』, 『선묘중흥지(宣廟中興志)』, 『문헌비고(文獻備考)』, 『징비록(懲毖錄)』, 『지봉유설(芝峯類說)』 등에 보이는 이순신 관련 자료를 편집하여 소개하고 있다.

권14는 『서애집(西厓集)』, 『상촌집(象村集)』, 『난중잡록(亂中雜錄)』 등 임진왜란 시기에 활약한 인물의 문집에 나오는 기사를 소개하고, 이어서 후대인의 문집이나 저서의 이순신 관련 기록을 모아서 나열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순신 당대에 교류했던 이들의 기록이나 가장(家狀), 사망 이후의 문집, 저서, 행록, 묘지명 등에서 기사를 뽑거나, 후대 인물의 저서나 문집 등에 언급되고 있는 간략한 기록도 수록하고 있으며, 21곳의 읍지(邑誌) 속 관련 기록까지 소개하고 있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