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우리말의 고저장단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우리말의 고저장단
정가 ₩20,000
판매가 ₩18,0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김영사
ISBN 9788934976172
출간일 20161127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우리말의 고저장단 수량증가 수량감소 180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모두가 사라졌다고 생각했던 우리말 고저高低의 원리를 최초로 밝힌 역작!
우리말의 가락을 사랑하고 지켜온 원로학자가 밝히는 우리말의 참된 운율!


우리말에는 장단은 있어도 고저는 이미 없어졌다고 말한다. 고저가 없는 말! 세상에 그런 ‘맥 빠진 말’, 그런 ‘숨 죽은 말’이 있을 수 있을까? 고저와 장단은 호흡과 맥박과도 같은 유기적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고저만을 떼어 교육권 밖으로 내쳐진 지 이미 오래다. 이 책에서는 사라졌다고 치부되었던 우리말의 고저가 생생히 살아 있음을 밝히면서 지극히 규칙 정연한 평측平仄 고저의 원리를 보여준다. 고저는 장단만의 평면감을 넘어 입체감을 불어넣어주며 전달력을 높여준다. 우리말의 가락을 사랑하고 지켜온 원로학자가 밝히는 우리말의 참된 운율!

목차

서문

제1부 서론

제2부 본론

1. 고저장단의 개요
(1) 사성(四聲)이란 무엇인가?
(2) 사성(四聲)과 평측(平仄)
(3) 평측(平仄)과 고저
(4) 고조(高調)와 저조(低調)
(5) 측고조(仄高調)란 무엇인가?
(6) 평고조(平高調)란 무엇인가?
2. 평고조(平高調)의 실제
(1) 생활어에 실현되는 평고조(平高調) 현상
(2) 평고조(平高調)의 변별
(3) 평고조(平高調)와 다른 성조(聲調)와의 대비
3. 평고조(平高調)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
(1) 평고조(平高調)가 되는 그 심리적 동기
(2) 평고조(平高調)의 음성학적 소견
(3) 평측(平仄)의 역추리
4. 평성단음절어(平聲單音節語)의 고조(高調) 현상
5. 고저와 장단의 유기적 상호관계
6. 우리말의 성조(聲調) 체계
(1) 성조(聲調)의 분류
7. 측고조(仄高調)의 여러 형태
(1) ‘仄仄’형
(2) ‘仄平’형
8. 다음절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 3음절어
(2) 4음절어
9. 고유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0. 우리말의 평측성성(平仄聲性)
(1) 평측성성(平仄聲性)의 성전환
(2) 체언과 조사 간의 성조(聲調) 대응
(3) 체언과 조사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4) 복합어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5) 용언과 어미 간의 성조(聲調) 대응
(6) 용언과 어미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7) 2음절 이상의 용언과 어미 간의 대응
(8) 수식사(修飾詞 ; 부사?관형사)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11. 한자어의 활용
(1) 한자어의 용언화 조건
12. 고저장단의 현황
(1) 고저의 체계 변이
(2) 장단의 체계 변이
13. 성조단위(聲調單位)와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 성조단위(聲調單位)
(2)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4. 고저장단의 이모저모
(1) 전통적 성조(聲調)에 벗어난 현관용어
(2) 평측(平仄) 구조가 같아 어의 구별이 안 되는 말들
15. 언어의 성조(聲調) 질서
(1) 사성(四聲)과 고저장단
(2) 말소리의 입체성
(3) 언어 질서의 자생력
16. 성조(聲調)의 고금
(1) 우리말 성조(聲調)의 연원
(2) 표준어와 방언의 성조(聲調)
(3) 한시문의 독송에서 다져진 평측(平仄)
17. 고저는 소멸한 것이 아니다
(1) 고저가 소멸했다는 논리의 부당성
(2) 평고조(平高調)가 약화된 원인
18. 장단에 대하여
(1) 고저를 배제한 장단의 부실성(不實性)
(2) 장단의 몇 가지 문제점
(3) 장단음(長短音) 발음의 불명확성
(4) 제2음절 장음의 단음화
(5) 사전상 장단 표시의 불일치성

제3부 결론
(1) 고저장단의 기준
(2) 평측(平仄)과 고저의 관계
(3) 우리말의 성(性)
(4) 연접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새 질서
(5)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의 원리
(6) 고저장단의 사전 표시 시안

제4부 별론
1. 중국 한자음 사성(四聲)과 우리 어음(語音)의 사성(四聲)
(1) 한자음과 귀화한자음(歸化漢字音)
(2) 중국 사성(四聲)과 고유어 사성(四聲)
2.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
(1) 훈민정음에서의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2) 최세진(崔世珍)이 본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3)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에 대한 여러 논거
(4)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와 상거상혼(上去相混)
3. 거성(去聲)의 정체
(1) 거성(去聲)의 음장(音長)
(2) 거성(去聲)의 발생 기서(機緖)
(3) 평단음(平短音)과 측단음(仄短音)
(4) 거성(去聲)?입성(入聲)의 음장 대비
4. 입성(入聲)의 음장(音長)
(1) 입성(入聲)의 특징
(2) 한자의 입성(入聲)과 고유어의 입성(入聲)
(3) 입성(入聲)과 평성(平聲)의 대비
(4) 입성(入聲)과 거성(去聲)의 대비
5. 한자 사성(四聲)의 변이 현황

?부록 1 성조가(聲調歌)
?부록 2 고저일람표
?부록 3 용어풀이

저자소개

손종섭

출판사리뷰

우리말 고저高低의 원리를 최초로 밝힌 역작!
우리말의 가락을 사랑하고 지켜온 원로학자가 밝혀내는 우리말의 참된 운율!

우리 일상어 속에 생생하게 살아 있는 고저


국어 시간에 길게 발음하는 눈〔雪〕과 짧게 발음하는 눈〔眼〕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우리말의 장단음 사례는 말:〔語〕과 말〔馬〕, 밤:〔栗〕과 밤〔夜〕 등 쉽게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우리말에는 장단의 리듬이 살아 있다. 본래는 고저도 살아 있었으나 성조학자들은 우리말의 고저가 오랜 옛날에 이미 없어졌다고 말한다. 그런데 그 고저가 지금도 살아 있으며 일사불란한 대원칙 아래 움직이고 있다면 어떨까? 이 책 《우리말의 고저장단》의 저자 손종섭 선생은 올해 99세의 나이로 지난 30년 동안 우리말과 한시의 가락에 천착해온 원로학자이다. 이 책은 젊은 시절부터의 숙제였던 우리말의 평측平仄 고저의 법칙을 밝히기 위해 집필하였다. 손종섭 선생은 어려서부터 선친에게서 한학을 배우면서 한자의 운韻에 의한 고저장단의 정확한 독송을 독책받았다. 뿐만 아니라 고유어의 고저장단도 한문에서의 원리와 다를 바 없다면서, 일상어에 있어서도 그릇된 발음은 즉석에서 일일이 교정을 받았다. 이후 손종섭 선생은 연희전문학교에서 국어를 전공하면서 우리말의 성조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다. 그리고 15세기 문헌의 방점 표시가 현재 우리말의 고저와 면밀하게 부합됨을 확인하고 정통적인 성조가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우리말의 고저는 장단만의 평면감을 넘어 입체감을 불어넣으며 듣는 이로 하여금 쉽게 어휘를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평생 동안 우리말의 가락을 사랑하고 지켜온 원로학자가 밝혀낸 우리말의 참된 운율에 귀를 기울여보자.

우리말 고저의 대변화, 말의 경제 심리와 엇가락의 유행

성조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우리말의 고저가 오랜 옛날에 이미 없어졌다고 주장하며 그 시기를 16세기 초에서 17세기 말의 2세기 폭으로 엇갈리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저는 엄연히 살아 있으며 교육권 밖에서나마 장단과 제휴하여 일사불란한 대원칙 아래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우리말의 고저가 한때 큰 변화를 겪은 것은 사실이다. 측성仄聲 앞에서 평성平聲이 고조되는 평고조平高調가 최고조에서 한 단계 낮아져 고조로 완화된 것이다. 이로 인해 최고조-고조-저조의 3단 체계였던 전통적인 고저 구조는 고조-저조’의 2단 체계로 변화를 겪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런 변화가 일어난 원인은 무엇일까? 첫째는 최고조를 발음하는 데 드는 힘을 될 수 있는 대로 아끼려는 경제 심리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는 경사조〔傾斜調, 京辭調〕라 일컬어지는 ‘엇가락의 말씨’, 곧 ‘엇진말’의 유행이다. 엇진말이란 말 가락에 빗가락으로 멋을 부리는 현상이다. 이것은 미적 장식물 같은 것으로 또렷한 고저장단의 가락에 얼기설기 서리는 부차적인 선율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는 아마도 임진왜란 이후에 싹트기 시작하여 여러 세기에 걸쳐 완만하게 진행되면서 최고조를 침식해오다가 갑오경장에 이르러서 오늘날과 같은 2단 체계로 완전히 굳어진 듯하다.

사성보다 간편한 평측의 분류 체계

손종섭 선생은 우리말의 고저를 논하면서 우선 한자의 사성四聲에서부터 실마리를 풀어간다. 중국 한자는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 네 가지로 분류된다. 우리나라로 처음 들어오던 당시 한자음은 중국음 그대로였지만 귀화 과정에서 우리말의 음운 체계에 동화되어 오늘날은 중국의 한자음과는 별개의 음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운소(韻素, 사성)만은 변화된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수입 당초 그대로이다. 고유어 역시 우리말이 고저언어인 탓에 높낮이와 길고 짧음에 따라 평성, 상성, 거성, 입성 네 가지로 나누어진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말의 고저장단을 논하면서 사성의 네 가지 분류 체계를 고집할 필요는 없으며, 평성과 측성仄聲 양 체계만으로도 얼마든지 설명할 수 있다. 사성 중 상성, 거성, 입성은 측성에 해당하고 평성은 그대로 평성이다. 평성은 비중比重과 비열比熱이 낮은 경쾌한 소리이다. 그리고 측성은 비중과 비열이 높은, 무겁고 듬직한 소리이다. 평성은 가장 짧고 가볍고 낮은 소리이고 측성은 평성보다는 길고 무겁고 높은 소리이다.

우리말에서 가장 독특한 고조 현상, 측상평고조

평성은 낮은 소리지만 측성 앞에서 고조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측상평고조仄上平高調라 하는데 줄여서 평고조, 또는 쳐든 가락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평성이 측성을 만나는 순간 갑자기 긴장하여 측성보다 더 높은 소리로 뛰어오르는 것으로서, 본래 미약한 평성의 소리가 측성의 높은 소리에 압도될 것을 염려하여 반발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한자어에서는 ‘공주公州, 청주淸州, 천지天池’ 등에서 사례를 찾을 수 있는데, 같은 음이라도 한자가 다른 ‘공주公主, 청주淸酒, 천지天地’ 등에서는 고조가 나타나지 않는다. 평성 뒤에 따라오는 음이 측성이 아닌 평성이기 때문이다. 고유어에서는 ‘국수, 기침, 한 해’ 등에서 평고조를 찾아볼 수 있다.
평고조는 단음절어에서도 나타난다. 산山, 양羊, 난蘭, 왕王, 문門, 차車, 용龍, 창窓, 신神, 종鐘, 공功, 상喪, 병甁, 능陵 등은 이미 고유어로 귀화한 한자어들이다. 이들은 낮은 소리인 평성으로 태어나 내내 평성에 적을 두고 있는 말들이지만, 단독으로 발음할 때는 고조되어 발음된다. 그러나 뒤에 평성이 붙으면 본래 평성의 모습으로 돌아가 자신이 본래 평성임을 드러낸다. 고유어에서도 말〔馬〕, 배〔梨〕, 손〔客〕, 옻〔漆〕, 집〔家〕, 갈〔改?〕, 되〔化〕, 들〔擧〕, 매〔結〕, 달〔甘〕 등의 체언과 용언은 평성이지만 단독으로 쓰일 때는 고조가 나타난다.
측상평고조 현상은 오늘날에도 고유어와 한자어 가릴 것 없이 엄연한 법칙으로 우리말에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상 생활어에는 벗어나는 것들이 적지 않다. 말뜻을 구분하기 위해서나 한쪽이 다른 한쪽을 기피해서, 또는 뜻의 상서롭지 못함을 피하기 위해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선비先?는 평성+측성 구조로 ‘선先’이 평고조돼야 하지만 선비〔士〕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평평조로 발음되는 듯하다. 또한 화제話題는 측성+평성형이지만 화재火災(측성+평성형)의 상서롭지 못함을 피해서 평평식으로 발음하게 되는 듯하다.

평고조와 쌍을 이루는 측고조의 특성

평고조와 대별 관계를 이루는 측고조는 측기어仄起語에서 일어난다. 측기어란 측성+측성 또는 측성+평성 구조의 어휘를 말한다. 이들은 무게가 어두에 실려 있는 중후한 음질의 어두 고조어다. 측고조의 사례는 ‘상고上古, 만기일滿期日, 불문곡직不問曲直’ 등의 한자어와 ‘솔기, 차례, 뜻글자’ 등의 고유어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현상이다. 측하무고조 현상이란 측성 아래에서는 고조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측성에 연접된 음절들이 모두 측성의 고조 아래 들어, 다음의 측성들은 약화되면서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출발음을 고조로 발음하면서 힘을 소모했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에서 다시 고조를 반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조된 음절에 이어지는 측성들은 평성보다는 높고 고조된 앞의 측성보다는 낮게 발음된다. 평고조와 측고조의 특성을 대비해보면 다음과 같다.

평고조 측고조
● 비중·비열이 낮다. ● 비중·비열이 높다.
● 가볍고 성급하다. ● 묵직하고 여유가 있다.
● 기민하며 반사적이다. ● 느긋하여 기품이 있다.
● 충동적이다. ● 대범하다.
● 경쾌하다. ● 둔중하다.
● 임시적이다. ● 항구적이다.
● 자위적自衛的이며 허세虛勢로 높다. ● 실질적으로 높다.

학계에서 외면했던 우리말의 가락을 밝혀낸 노작

해방 이후 우리는 고저는 방기한 채 장단만을 소중히 가르친 국어 교육으로 오늘날에 이르렀다. 그러나 고저의 생명은 강인하여 반세기 동안이나 교육권 밖에 버려진 채로 명맥을 이으면서 여전히 우리말 생명의 일면을 담당해오고 있다. 그리고 장단의 오류 이상이 아닐 만큼 비교적 건전히 골격을 유지해오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손종섭 선생은 우리말의 고저를 복권시키고 성조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대안으로서 학계의 관심, 학교 교육에서의 고저 교육 수용, 그리고 고저장단을 명시한 시범적인 국어사전 제작을 제안한다. 특히 “모든 국어사전이 고저장단표를 갖추게 되는 날 비로소 우리의 국어 교육은 본궤도에 오르게 될 것”이라며 사전에서의 고저 표기 방식까지 예시한다. 영미권의 사례를 보면 사전에 단어마다 악센트를 표기하고 그것을 철칙으로 준수한다. 이것은 단지 의사소통의 편리성 때문만이 아니라 언어가 민족의 얼이자 문화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학계에서 이미 오래 전에 사라졌다고 치부했던 우리말의 고저를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노학자가 수십 년간의 집념 어린 노력 끝에 되살려놓았다. 우리말에 관심을 가진 대중 독자라면 한 번쯤 정독해야 할 노작勞作이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