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저항의 방식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저항의 방식
정가 ₩13,000
판매가 ₩11,7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살림Math
ISBN 9788952241641
출간일 20191128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저항의 방식 수량증가 수량감소 117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자신의 언어·문화·전통도 모르는 존재로 철저하게 개조된
캐나다 원주민들은 이 황폐한 현실에 어떻게 저항하는가?
식민 지배의 아픔, 그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본다!

‘내적 식민지’ 개념으로 원주민 문학을 분석한다

내적 식민지라는 개념은 원래 레닌의 제국주의론에서 발전해온 것이다. 제국주의가 한 국가(민족)가 다른 국가(민족)를 착취하고 지배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내적 식민지란 하나의 영토(국가) 안에 있는 어떤 정치적·경제적 중심(core)이 같은 영토(국가)에 있는 다른 주변부를 착취하고 지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식민주의론에서 착취와 억압의 원천이 단위 국가의 외부에 존재한다면, 내적 식민지에서 착취의 원천은 내부가 아니라 단위 국가의 내부에 있다. 이런 점에서 현대 원주민 문학을 분석할 때 내적 식민지라는 개념은 매우 적절한 도구가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캐나다 현대 원주민 작가들의 문학을 소개하고, 식민 역사에 대한 문학적 대응 방식을 분석한다.

목차

머리말
자기의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의 문학

제1장 내적 식민지와 성의 정치학
비어트리스 컬리턴의 『에이프릴 레인트리를 찾아서』
왜 원주민 문학을 읽는가?
내적 식민지의 풍경들
피부와 가면 그리고 판타지들
성의 정치학
희생제의, 판타지를 버리며

제2장 문화적 파시즘과 소수문학
메릴린 듀몬트의 『진짜 착한 갈색 소녀』
메티스로서의 혼종성에서 비롯된 시학
문화적 파시즘과 성, 계급, 인종
“악마의 언어”와 혼종성
액체성 혹은 그 너머

제3장 내적 식민지와 텍스트의 정치학
지넷 암스트롱의 『슬래시』
북미원주민 삶, 현재형으로 읽어내기
텍스트의 정치학 1: 성장소설과 탈식민 로맨스
텍스트의 정치학 2: 리얼리즘의 강화
『슬래시』의 리얼리즘적 성취

제4장 경계와 헤게모니
리 매러클의 『레이븐송』
경계에 대한 성찰문학
경계와 헤게모니
다시 대화를 향하여
좌절된 욕망, 현실의 우위
내적 식민지의 문제

제5장 유배당한 자들의 서사전략, 그리고 전복의 수사학
토머스 킹의 『캐나다 인디언의 짧은 역사』
지배언어로 지배언어를 교란시키다
유배당한 자들과 소수문학
경계를 넘어서, 소수문학의 서사전략
다양한 서사전략으로 구축하는 캐나다 인디언의 역사

토머스 킹의 『한 좋은 이야기, 그 이야기』
내적 식민지 개념을 도입하다
텍스트의 정치학
판타지를 동원해 돌이키기 어려운 현실 뛰어넘기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오민석

출판사리뷰

자본주의라는 거대한 기계 아래 여러 모순의 문신들

비어트리스 컬리턴의 『에이프릴 레인트리를 찾아서』에는 두 혼혈인 자매가 등장한다. 두 사람은 알코올 중독과 가난으로 부모로부터 강제로 분리되어 고아원에 보내졌다가 백인 가정에 입양된다. 백인의 외모에 더 가까운 언니 에이프릴은 백인 행세를 하며 자신의 원주민 정체성을 감추거나 부인하면서 살아간다.

이에 반해, 동생 체릴은 원주민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오히려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떳떳이 밝힐 뿐만 아니라 인디언의 역사를 공부해 학교에서 발표하기까지 한다. 그러나 자신의 정체성을 대하는 이 서로 다른 두 입장 혹은 태도는 소설의 후반부에 이를수록 점점 뒤바뀐다. 넓은 의미에서 이 소설의 주제가 혼혈아의 자기 정체성 찾기로 읽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한편 인종적 갈등과 계급적 모순 외에도 성적 모순이 주요하게 다뤄진다. 이 책에서는 내적 식민지 안에서 여성 피식민자들이 당하는 성적 수모와 억압이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원주민 여성을 보는 색안경, 매춘, 강간 등 에이프릴이 진정한 정체성을 회복하고 ‘진정한 해방’을 맞이하기까지, 우리 역시 내적 식민지가 내포한 여러 모순을 직면하게 된다.

문화적 파시즘에 저항하는 소수 문학

메릴린 듀몬트의 시집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진짜 착한 갈색 소녀』를 중심으로, 문화적 파시즘에 저항하는 소수 문학의 한 지형도를 그려내고자 한다. 문화적 파시즘은 다양한 요소의 중층적 결합에 의해 구성된다. 그것은 인종·계급·성적 모순의 환유적 결합물이고, 이 결합은 오랜 역사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것이다.

대부분의 북미원주민 문학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수사적·문화적 긴장은 그것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중심-주변, 주류-소수 사이의, 이처럼 매우 현실적이고도 역사적인 갈등과 모순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원주민 문학을 포함해 모든 소수 문학은 근본적으로 정치적이고 집단적이다.

소수 문학에 나타나는 개인사의 의미는 더 확대될 수밖에 없다. 개인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는 정치적·집단적 이야기, 즉 다수의 소수자가 공유하고 있는 역사적 서사가 있기 때문이다.

폭력 투쟁이 아닌 인디언 방식(나눔의 정신)으로

『슬래시』의 주인공(슬래시)은 다양한 탈식민 투쟁의 현장을 유랑하는 한 청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의 세대가 “특별한 세대”가 될 거라는 말을 듣는다. 그 이유는 증오로 가득 차 있지 않기 때문이다. 슬래시가 수많은 탈식민 투쟁의 과정에서 겪었던 절망은 항상 식민자에 대한 극단적인 증오를 동반했다. 출구 없는 싸움에 그는 번번이 유혹에 시달리지만, 폭력마저도 탈식민화의 궁극적 해결책일 수는 없다. 그는 극도의 무력감과 절망 속에서 술과 마약에 빠져 방황한다.

슬래시는 마약 중독자와 알코올 중독자를 돌보는 어떤 인디언 캠프에서 도움을 받게 된다. “종교적일 정도로 깊이 인디언 방식”으로 사는 원주민들과 만나 몸으로 서서히 느끼게 된다. 늘 그의 주위를 맴돌았지만 단 한번도 그의 것이 되지 않았던 인디언 방식을 말이다. 그리하여 인디언 방식은 “단순히 인디언들만의 생존이 아니라 비인간적 세계에서 인간적인 것의 생존”을 위한 더 큰 싸움을 지향하게 된다.

수많은 비극과 절망, 그보다도 더 큰 비극적 결말 앞에서도 슬래시는 담담하게 고백한다. “이제 나의 절망은 끝났다.” 『슬래시』가 이룩한 리얼리즘적 성취는 교육적 욕망에 일정 정도 억압된 아쉬움에도, 설득력 있는 울림으로 절절히 다가온다.

냉정하고 신중하게, 희망으로 나아간다

북미원주민 문학은 일반적인 탈식민주의 패러다임으로 접근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탈식민주의 이론은 대부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실상 종료된 직접적 식민 지배와 그 후의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북미원주민은 아직도 직접적·영속적 식민 지배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리 매러클의 『레이븐송』은 현재로서는 거의 해결할 수 없는 캐나다 원주민 공동체의 모순을 매우 냉정하게 재현하는 작품이다. 내적 식민지의 적대적 두 세력이 전혀 다른 문법을 가진, 뿌리에서부터 분리된 집단이라는 사실을 절망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그 경계의 해체와 재편의 욕망을 레이븐이라는 신화적 존재를 통해 보여준다.

매러클은 자신의 텍스트 안에서 현실과 욕망을 서로 충돌시키면서, 현실 안에서 무력해지고 마는 유토피아 욕망의 얼굴을 들여다본다. 그럼에도 모든 유토피아는 ‘도래할 미래’이므로 매러클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

뻗어나가는 실뿌리처럼 점차 탄탄해지는 저항의 의지

토머스 킹은 식민 현실의 사실적 재현보다는 지배언어로 지배언어를 교란하는 독특한 서사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재현’에 중점을 둔 컬리턴이나 암스트롱 같은 작가들과 차이를 보인다.

그는 원주민 문학에 곧잘 나오는 코요테처럼 백인 지배담론을 마구 횡단하며 균열과 흠집 그리고 구멍을 만든다. 다양한 형태의 기호적 반전, 형태변형, 재맥락화, 혼종화, 판타지 기법 등을 동원하여 동화시키려는 지배담론의 의지에 저항한다.

실험주의인지 아닌지와는 별개로, 그의 소설이 유럽 중심의 정치학에 강력하게 저항하고 도전하고 있으며, 해체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문학작품에 나타난 캐나다 원주민의 삶

캐나다 원주민들은 지금도 자신의 땅에서 유배당한 채, 영원히 오지 않을 확률이 높은 해방의 날을 기다리며 살고 있다. 지금도 수많은 원주민이 보호구역에서, 황량하고 어두운 도시의 뒷골목에서 대답 없는 미래와 씨름하며 괴로워하고 있다. 수백 년에 걸친 식민의 역사가 청산되지 않는 한 이들에게 희망적인 미래는 없다.

이 책에 소개된 다섯 명의 작가 비어트리스 컬리턴, 메릴린 듀몬트, 지넷 암스트롱, 리 매러클, 토머스 킹은 모두 캐나다 원주민 출신이다. 현재 캐나다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이자 소설가다. 이들은 작품 속에 자신들의 역사와 고통을 나름의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사실 모든 문학은 본질적으로, 결핍의 현실에 대한 대응의 예술적 형태라 할 수 있다. 캐나다 원주민의 궁핍과 결핍의 강도는 역사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것이고 게다가 현재 진행형이다. 그러므로 캐나다 원주민 출신 작가들의 문학을 검토하는 일은 매우 흥미롭고도 유의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계약서로 가려진, 억압받은 식민의 역사를 복원한다

미국은 주로 물리적 폭력, 대량 학살의 과정을 거쳐 원주민을 말살했다. 반면 캐나다는 이른바 동화정책을 펼쳤다. 식민자 측은 계약·조약·협약을 체결하여 문서로 피식민자 원주민의 영토를 야금야금 차지하고 이들을 보호구역으로 몰아냈다. 기숙학교에서는 “야만인에게 문명을 가져다준다는 신념” 아래, 비교적 최근인 1996년까지 거의 150년에 걸쳐 원주민 아이들의 언어와 종교, 관습 등 정체성을 강제로 무너뜨렸다.

그렇게 ‘인종 개종학교’를 나와도 백인 주류 사회가 받아주는 것도 아니었다. 이들은 자기 부족과 주류 사회, 양쪽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채 마약과 알코올 중독, 자살, 각종 범죄 등에 노출된 황폐한 삶을 살았다. 다른 나라에 비해 전쟁과 학살 같은 ‘악몽의 세월’을 상대적으로 덜 겪었으나, 기숙학교 시스템으로 인해 원주민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 세대 간의 연결과 연합은 심각하게 단절되었다. 원주민 공동체는 사실상 해체의 길로 접어들 수밖에 없었다.

이 “부끄러운” 역사는 공식 사과와 표명으로 겉으로는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캐나다 정부와 주로 가톨릭, 개신교 교회가 함부로 만든 기숙학교 제도는, 원주민들에게 유럽과 그 바탕이 되는 기독교 담론에까지 영속적인 반감을 심어주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캐나다 원주민 작가들의 시와 소설 속에 때로는 절절한 리얼리즘으로, 때로는 시적 비유로, 때로는 판타지의 형식을 빌려 치밀하게 그려졌다.

아직은 먼 미래인 ‘평화로운 공존’

“이 소설을 쓴 것은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었습니다. 왜 우리 가족이 모든 것에 맞서는 것 같았는지, 왜 부모님은 알코올 의존증이었는지, 왜 우리는 입양 가정에서 자라야 했는지, 왜 제 두 여형제는 자살했는지 그런 많은 질문에 대해서요. 많은 글쓰기가 해답을 줬지만, 가장 큰 답 중 하나는 제가 평생 원주민 출신이라는 사실을 부끄러워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 비어트리스 컬리턴

“저에게 시란 (메티스 원주민으로서) 많은 수치심을 몰아내기 위한 한 방식입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배운 점은 수치심이 얼마나 사람의 심신을 약하게 만드는가였어요.”
- 메릴린 듀몬트

“제가 진정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건, 어떤 특수한 목적을 위해 그 시대를 표현해내는 일이었습니다. ……(단순한 역사적 기록을 넘어) 어떻게 그런 일이 일어났고, 사람들이 무엇을 느꼈으며, 무엇을 꿈꾸었는지, 그 시대에 고통과 기쁨이 무엇이었는지를 전하고자 했습니다.”
- 지넷 암스트롱

“예전에는 백인을 위해 읽거나 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백인 독자가 제 작품을 읽을까 봐 출간도 미룬 적이 있었죠. 하지만 어느 날 아침, 레이븐이 집 밖으로 나올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어요. 이제는 그런 걱정이 신경 쓰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가 글을 쓸 때 염두에 두는 사람들은, 바로 원주민들입니다.”
- 리 매러클

“유머는 생존 전략의 하나입니다. 우리는 나쁜 상황에 너무 오랫동안 노출되었고, 할 수 있는 최선이 농담을 던지는 일이었습니다. 유머는 우리가 완전히 미쳐가는 것을 막아주는 한 방법이었습니다. 유머는 비극을 더 깊게 하죠. 사람들을 웃기는 동시에 울게 할 때 저는 유머를 활용했습니다.”
- 토머스 킹

캐나다 원주민 문학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물론 현지에서조차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다. 연구량이 빈약하여 해당 작품들에 관한 기존 연구 모델을 찾기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평화로운 공존’은 먼 미래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미래로 그려진다. 하지만 관심이 늘고 캐나다 원주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면 밝은 미래도 점차 가까워질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새로운 연구 영역을 여는 작은 열쇠가 될 것이다.

[수록 작가 소개]

- 비어트리스 컬리턴(Beatrice Culleton Mosionier)


생년: 1949년~
소개: 캐나다 매니토바주 출생. 메티스(metis: 특히 캐나다에서 원주민과 유럽인 사이에서 난 혼혈인종) 출신의 캐나다 작가.
주요작품: 소설 『에이프릴 레인트리를 찾아서(In Search of April Raintree)』(1983), 『악의 그늘 속에서(In a Shadow of Evil)』(2000), 전기 『와서 나와 함께 걷자: 회고록(Come Walk With Me: A Memoir)』(2009) 등.

- 메릴린 듀몬트(Marilyn Dumont)

생년: 1955년~
소개: 캐나다 앨버타주 출생. 크리(cree: 캐나다 중부에 많이 사는 북미원주민)와 메티스 출신의 시인, 교육자. 제럴드 램퍼트 기념상, 앨버타 북 어워드, 맥널리 로빈슨 원주민 문학상 등 수상.
주요작품: 시집 『진짜 착한 갈색 소녀(A Really Good Brown Girl)』(1996), 『초록 소녀가 산을 꿈꾸다(Green Girl Dreams Mountains)』(2001), 『그 말이 속한(That Tongued Belonging)』(2007) 등.

- 지넷 암스트롱(Jeannette Armstrong)

생년: 1948년~
소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오카나간 출생. 퍼스트 네이션스(First Nations: 캐나다 원주민 단체의 하나로 이누이트와 메티스는 포함하지 않음) 출신의 원주민 시인, 소설가, 교육자, 예술가, 시민운동가. 먼고 마틴 원주민 예술 교육상 등 수상. 첫 소설이자 가장 유명한 작품인 『슬래시(Slash)』는 처음으로 퍼스트 네이션스 출신 여성이 쓴 작품으로 알려짐.
주요작품: 소설 『슬래시(Slash)』(1985), 『그림자의 속삭임(Whispering in Shadows)』(2000), 시집 『브레스 트랙스(Breath Tracks)』(1991) 등.

- 리 매러클(Lee Maracle)

생년: 1950년~
소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출생. 스톨로(Sto:lo: 퍼스트 네이션스 중 하나로, 프레이저 계곡과 협곡 하부에 사는 원주민) 출신의 시인이자 작가. 본햄 센터 상 수상.
주요작품: 소설 『레이븐송(Ravensong)』(1993), 『셀리아의 노래(Celias Song)』(2014), 논픽션 『나는 여성이다: 사회학과 페미니즘에 관한 원주민으로서의 견해(I Am Woman: A Native Perspective on Sociology and Feminism)』(1988), 『캐나다인과의 대화 (My Conversations with Canadians)』(2017) 등.

- 토머스 킹(Thomas King)

생년: 1943년~
소개: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생. 체로키(Cherokee: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하나로, 이로쿼이족의 한 지족[支族]) 인디언, 독일과 그리스계 혼혈 출신 소설가, 방송인, 구엘프 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맥널리 로빈슨 원주민 문학상, 버트 원주민 문학상, 가버너 제너럴 영문학 상 등 수상.
주요작품: 소설 『한 좋은 이야기, 그 이야기(One Good Story, That One)』(1993), 『캐나다 인디언의 짧은 역사(A Short History of Indians in Canada)』(2005), 『거북이 등(The Back of the Turtle)』(2014), 『악의의 문제(A Matter of Malice)』(2019) 등.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