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닫기

절반의 중국사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절반의 중국사
정가 ₩48,000
판매가 ₩43,200
배송비 무료
출판사 메디치미디어
ISBN 9791157060856
출간일 20170430
구매방법

배송주기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절반의 중국사 수량증가 수량감소 43200 (  0)
총 상품금액0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본 상품

최근본 상품 내역이 없습니다.

  • 이전
  • 다음

판매사정보

이벤트

구매하기
 

책소개

중국사의 나머지 ‘절반’을 채운다
한족과 얽힌 소수민족 이야기


한족과 얽힌 소수민족 이야기. 통상 중국의 소수민족이란, 지금의 중국이라는 지리적 영역 안에 거주하는 한족을 제외한 55개의 민족을 일컫는다. 다큐멘터리나 여행서 등을 통해 이들의 생활상은 조금씩 알려지고 있지만 정작 그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그들과 관련해 어떠한 이야기가 얽혀 있는지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이 책이 다루는 소수민족이란 이들의 기원이 되는 민족들이다. 흉노와 유연 등의 초원민족과 선비, 저, 강 등의 유목민족, 그밖에도 오아시스 왕국을 세웠던 월지, 누란 등을 일컫는다. 저자는 기존의 중국 역사가 중원 왕조, 한족 중심의 역사로 서술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들과 얽혀온 비(非)한족의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들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유목민족 지도자들을 재평가하고, 잊고 있던 왕국의 역사를 재조명했다.

이 책은 중국의 고전을 비롯해 방대한 사료들을 토대로 소수민족의 기원을 밝히는 데 그 의의를 두었다. 저자는 "소수민족의 역사를 전문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중국 내 정통 역사학자들과 힘을 겨루는 것과 같은 작업"이라며 지금의 중국 땅에 존재하는, 그러나 그동안 조명 받지 못한 이들의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운다.  

목차

들어가는 말 5
각 세기별 형세도 7

제1장 흉노

왜 ‘호’라고 불렀는가? 27 │ 만리장성 29 │ 맏아들을 폐위하고 막내를 세우다 34 │ 가장 강성한 흉노 38 │ ‘화친’의 유래 41 │ 한나라 장군과 ‘연지’ 44 │ 소무가 양을 치다 47 │ 이릉이 흉노에 항복하다 53 │ 첫 번째 ‘매국노’ 57 │ 형제끼리 싸우다 59 │ 왕소군이 새외로 나가다 62 │ 남흉노와 북흉노 67 │ 호가의 노래 열여덟 수 69 │ 첫 번째 이민족 왕조 73 │ 북한과 서진, 동진 74 │ 도각흉노의 황권 78 │ 노수호 북량국 82 │ 철불대하 86 │ 사라진 계호 91 │ 하늘 끝으로 망명하다 93 │ 유럽의 대란 97 │ 신의 채찍 99 │ 사랑에 미치다 102 │ 초원제국의 죽음 105 │ 헝가리는 흉노의 후손인가? 108

제2장 오환과 선비
연 장성의 유래 113 │ 동호가 둘로 나뉘다 115 │ 한 왕조의 정찰병 117 │ 조조가 오환을 정벌하다 119 │ 선비의 남하 124 │ 모용선비 127 │ 영웅 아버지와 보잘것없는 아들 131 │ 후연에 관한 기괴한 이야기 134 │ 순식간에 사라져버린 서연 137 │ 음악 때문에 나라가 망하다 140 │ 스러져간 서진 143 │ 남량 판 ‘돈키호테’ 146 │ 탁발씨의 건국 149 │ 왕의 귀환 151 │ 불교가 중국으로 들어오다 154 │ 태무제의 불교 탄압 157 │ 불교의 부흥 161 │ 효문제의 개혁 164 │ 북위의 남은 이야기 167 │ 2대 반에 걸친 꼭두각시 171 │ 불교가 다시 재앙을 당하다 175 │ 스물한 살의 태상황 177 │ 수에 길을 내어주다 179 │ 당시唐詩에 나타난 나라 181 │ 틈바구니를 오가다 185 │ 시보족의 대장정 187 │ ‘오호난화’에 대하여 189

제3장 유연
세 번째 초원제국 195│ 능력 있는 자가 우리를 이끌라 199 │ ‘전쟁의 신’과 ‘성스러운 여인’ 204 │ 은혜를 원수로 갚다 207 │ 맥적산의 안개비 209 │ 지붕 위의 산양 213 │ 유럽을 시끄럽게 하다 216

제4장 백흉노
백흉노는 흉노인가? 225 │ 사산조 페르시아와 에프탈 227 │ 인도까지 쳐들어가다 229 │ 조로아스터교에 마음을 묶고 230 │ 어쩌면 돌아가는 길 234

제5장 돌궐
돌궐의 기원은 어디인가 239 │ 초원의 꿈 242 │ 원한의 씨앗을 뿌리다 245 │ 보복의 기회를 얻다 248 │ 싸우지도 않았는데 자중지란이 일어나다 250 │ ‘가짜’ 당 왕조, 후당 253 │ 아들 황제 257 │ 두 개의 ‘한’ 왕조를 다시 만들다 259 │ 불가리아의 내력 262 │ 오스만 술탄 263 │ 기독교 속으로 265 │ 비잔티움을 짓밟다 270 │ ‘유럽의 병든 자’ 오스만제국 273 │ 터키의 ‘구세주’ 277 │ 우상 파괴자 279 │ 델리에 불어온 300년의 비바람 280 │ ‘다리를 저는’ 티무르 282 │ 갠지스강의 빛나는 햇살 286 │ 사랑이 남긴 불후의 걸작, 타지마할 288 │ 비둘기가 까치집을 점령하다 291 │ 온 힘을 다해 모험을 하다 293

제6장 회골
피의 바다에서 진한 복수를 299 │ 천리에 백조 깃털을 보내다 301 │ 대막의 패자 303 │ 안사의 난 전후 305 │ 당과 회흘의 혼인 312 │ 내부의 적이 나라를 팔다 314 │ 이슬람에 귀의하다 317 │ 《돌궐어대사전》 320 │ 몽골의 사위가 되다 324 │ 향비의 전설 326 │ 좌종당의 서부 정벌 328 │ 어제와 헤어지다 331 │ 시적인 곳, 신장위구르자치구 336

제7장 거란
백마와 청우의 전설 341 │ 개국공신 343 │ 중천에 뜬 해처럼 345 │ 여걸 소작 350 │ 전연의 맹 354 │ 연못의 물을 퍼내고 고기를 잡다 357 │ 남은 숨을 몰아쉬다 362 │ 멀리 날아가다 367 │ 서요의 멸망 371 │ ‘북극곰’과 산수를 하다 374

제8장 말갈
머나먼 동쪽의 동굴에서 거주하다 381 │ 발해 383 │ 아골타(아구타) 388 │ 정강의 변 392 │ 북송은 왜 무너졌을까 399 │ 진회가 남송으로 돌아오다 402 │ 상승장군 405 │ 가슴 아픈 역사 407 │ 개혁의 열기 413 │ 누르하치가 나타나다 416 │ 이간질 작전 420 │ 청 군대가 산해관으로 들어오다 424 │ 불나방이 불을 향해 달려들다 428 │ 머리카락을 지키려면 머리를 잘라야 한다 431 │ 흥성한 시대의 그림자 433 │ 난감한 상황에 처한 천조 439 │ 수렴청정 441 │ 갑오년의 참담한 실패 443 │ 무술년의 회오리바람 446 │ 여인의 ‘대청’ 449 │ 드디어 마지막 종이 울리다 454 │ ‘피에로’의 복위 운동 457 │ 마지막 황제 459

제9장 강
한인의 조상은 양치기였다 467 │ ‘양치기 소년과 늑대’ 468 │ 미인계 472 │ ‘무익원검’전설 475 │ 흉노를 버리고 한 왕조에 투항한 왕 477 │ 여인국 479 │ 동쪽으로, 동쪽으로 481 │ 만년진왕 484 │ 착한 사람이 나라를 망친다 486 │ 당항강 490 │ 역사가 갑자기 방향을 바꾸다 492 │ 서하 494 │ 몽골과 서하 500 │ 후손들은 여전히 남아 있고 505

제10장 토번
선사시대 문명의 흔적을 찾아 511 │ 매가 창공을 가로지르다 514 │ 천 리의 인연 516 │ 문성공주가 티베트로 간 경로 519 │ 감정이 지나치면 오히려 공허한 법이라 521 │ 아득하고 비장한 구게 524 │ 고원의 기쁜 소식 530 │ 달라이와 판첸 533 │ 부탄과 시킴 538 │ 영국군이 티베트에 들어오다 541 │ 맥마흔 라인 544 │ 동이 트기 전의 짙은 어둠 546 │ 과거와 이별하다 549 │ 극한에 도전하다 552

제11장 저
내지로의 이주 557 │ 저인의 지도자 제만년 559 │ 이수의 ‘성한’ 563 │ 뚱보 황제 567 │ 북방을 통일하다 570 │ 비수대전 573 │ 검은색 마침표 578 │ 저녁노을, 저녁 햇살 580 │ 생존을 위한 여러 방법 583 │ ‘백마인’에 대한 오해와 진실 585

제12장 월지
인도·유럽어족의 대이주 591 │ 하서로 패주하다 595 │ 장건이 서역으로 출사하다 598 │ 쿠샨 왕조의 굴기 603 │ ‘특급’ 자객 605 │ 불교 전파 노선 610 │ 쿠샨의 멸망 614 │ 소무구성 616 │ 영웅은 출신을 묻지 않는다 620 │ 천하를 놓고 다투다 623 │ 질그릇 가마가 천둥소리를 내며 울리다 624 │ 민족 대학살 628 │ 후경의 난 631

제13장 몽골
전설 639 │ 영웅의 탄생 642 │ 홀로 천하를 걷다 644 │ 후계자 이야기 650 │ 몽케가 정권을 탈취하다 654 │ 중국을 통일하다 658 │ 쿠빌라이 663 │ 마르코 폴로 666 │ 대막으로 돌아가다 670 │ 세계 제국의 꿈 674 │ 토목보의 변 684 │ 북경 방어전 688 │ 남궁에서 다시 황위에 오르다 691 │ 알탄칸의 사랑 이야기 695 │ 준가르의 ‘자살’ 699 │ 토르구트가 동쪽으로 돌아가다 702 │ 볼가강 서쪽 706 │ 몽골 독립의 비밀 707 │ 역사는 마땅히 올랑 후를 기억해야 한다 713

제14장 오손
꿈을 따라 하늘 끝까지 719 │ 장건이 두 번째로 서역에 출사하다 722 │ 양주 미녀 725 │ 서역에 피어난 ‘철 장미’ 730 │ ‘카자흐’로 개명하다 735 │ 카자흐가 러시아에 대항하다 737 │ 만 리에 구름이 없으면 만 리가 푸른 하늘이라 739 │ 러시아 ‘곰’이 영토를 삼키다 741

제15장 월
오월쟁패 747 │ 와신상담 749 │ 자승자박 752 │ 월의 3천 군사가 오를 삼키다 756 │ 교활한 토끼를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는다 759 │ 영거, 그 대담한 창의성 764 │ 민월 767 │ 조타와 남월 770 │ 천고일녀 774 │ 위대한 결정 778 │ 따이·까다이어파 10자매 781

제16장 서남이
윈난에 도착하다 795 │ 남중의 큰 성씨들 798 │ 남조와 토번, 당이 써내려간 ‘삼국지’ 800 │ 단씨의 대리국 803 │ 꼭두각시 왕 805 │ 티베트·버마어파의 형제자매들 809

제17장 복
야랑은 정말 스스로를 크다고 여겼을까 827 │ 지위가 내려가다 830 │ 역사의 필연 831 │ 침묵을 선택하다 833 │ ‘파천황’ 이야기 834 │ 애뢰왕 838 │ 몽·몐어파 삼형제 840 │ 몽·크메르어파 세 자매 846

제18장 누란
머나먼 오아시스 저편 851 │ 실크로드의 보석 853 │ 누란의 이름이 바뀌다 855 │ 신비롭게 사라지다 858 │ 놀라운 사건이 일어나다 863 │ 누란에 묻다 866

옮긴이의 말 869
주 875
찾아보기 1038

저자소개

가오훙레이 , 김선자

출판사리뷰

“지금까지의 중국사는 반쪽짜리 역사였다”
한족 중심의 역사만으로는 오늘날 중국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소수민족의 이야기로 채우는 나머지 절반의 중국사

중국사의 나머지 ‘절반’을 채운다
한족과 얽힌 소수민족 이야기


통상 중국의 소수민족이란, 지금의 중국이라는 지리적 영역 안에 거주하는 한족을 제외한 55개의 민족을 일컫는다. 다큐멘터리나 여행서 등을 통해 이들의 생활상은 조금씩 알려지고 있지만 정작 그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그들과 관련해 어떠한 이야기가 얽혀 있는지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이 책이 다루는 소수민족이란 이들의 기원이 되는 민족들이다. 흉노와 유연 등의 초원민족과 선비, 저, 강 등의 유목민족, 그밖에도 오아시스 왕국을 세웠던 월지, 누란 등을 일컫는다. 저자는 기존의 중국 역사가 중원 왕조, 한족 중심의 역사로 서술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들과 얽혀온 비(非)한족의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들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유목민족 지도자들을 재평가하고, 잊고 있던 왕국의 역사를 재조명했다.

이 책은 중국의 고전을 비롯해 방대한 사료들을 토대로 소수민족의 기원을 밝히는 데 그 의의를 두었다. 저자는 “소수민족의 역사를 전문적으로 다룬다는 것은 중국 내 ‘정통’ 역사학자들과 힘을 겨루는 것과 같은 작업”이라며 지금의 중국 땅에 존재하는, 그러나 그동안 조명 받지 못한 이들의 이야기를 전면에 내세운다.

민족의 역사는 집단의 기억
지금의 중국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민족의 역사는 집단의 기억이다. 쉽게 국경을 넘나드는 오늘날에도 혈통이나 언어 등을 기반으로 한 민족 개념은 집단의 기원을 설명하고 소속감과 정체성을 설명하는데 여전히 유효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한족과 각축을 벌였던 민족들, 남방의 여러 왕조들, 초원을 누비던 제국들의 이야기를 한데 모아둔 책은 없었다. 중국 내 여러 민족의 역사를 집대성한 이 책은 그동안 우리가 알지 못했던, 혹은 굳이 알려고 하지 않았던 또 다른 기억을 훑어볼 수 있는 기회를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저자가 들려주는 열여덟 개 민족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지금 중국에 거주하는 소수민족들의 기원도 조금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중국이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는지에 대해 보다 폭넓은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이야기로 풀어낸 역사 교양서
동양신화 전문가가 번역하다


중국 국토자원 작가협회 부주석이자 중국 작가협회 회원인 저자는 작가답게 다양한 시와 고사성어 등을 활용해 이야기로 역사를 풀어냈다. 엄밀한 역사서와 달리 개인적 감상과 비평도 곳곳에 들어 있다. 덕분에 중국에서 폭넓은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역사 교양서로 자리 잡았고 위구르어, 몽골어, 키르기스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국내 번역은 중국에 대한 이해가 깊은 동양신화 전문가가 맡았다. 옮긴이는 중국 신화와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한 활발한 연구뿐 아니라 일반 독자를 위한 저술도 이어가고 있다. 작가가 쓴 역사 교양서이지만 일반 독자뿐 아니라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도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시와 고사성어는 물론, 국내 독자들에게 낯선 지명과 인명에 대해서도 주석에서 상세하게 설명했다.

책에 등장하는 낯설고 생소한 민족들과 지도자들의 이야기는 중국 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영화 [묵돌]은 LA 세계민족영화제에서 최우수 민족영화상을 수상했고, 중국작가협회 부주석인 장웨이(張?),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계 인사 펑지차이(馮驥才), 소설가이자 전 시안과기대학 문과대학장 자핑와(賈平凹) 등의 찬사를 받았다.

역사는 결코 객관적일 수 없다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한 시각을 이해할 수 있는 책


모든 역사는 객관적일 수 없고, 화자가 처해 있는 입장과 속해 있는 집단의 상식이 시각에 영향을 미치곤 한다. 역사 분야에서 중국은 그 지리적 영역 안에 존재했던 모든 왕조와 민족의 역사를 ‘중국사’로 포함시키려는 경향을 띄는데, 이는 ‘동북공정’을 포함한 ‘역사공정’의 기본 관점이다. 이 책 역시 이러한 경향과 궤를 같이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국 당원 교육 연수코스의 교재로 쓰인 것도 이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중국의 ‘역사공정’에 대해서는 주로 학계에서 논의가 이어지고 있을 뿐이고, 중국 내에서 일반 독자들에게 읽히는 역사 교양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우리는 잘 알지 못한다. 따라서 이 책은 중국의 소수민족의 역사를 집대성해 소개하는 동시에, 이를 이야기하는 중국의 일반적인 시각이 어떤지도 가늠하게 해줄 것이다.
옮긴이는 국내 독자들을 위해 단어나 서술에 객관성이 떨어지는 지점에 촘촘히 주석을 달았다. 또한 저자의 시각을 설명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중국 학계와 국내 학계의 관련 연구 동향까지 소개하고자 많은 공을 들였다. 본문과 더불어 약 150페이지 분량의 역주를 살펴본다면 옮긴이의 말처럼 ‘제대로 된 역사 인식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상품결제정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정보

배송 방법 : 택배
배송 지역 : 전국지역
배송 비용 : 무료
배송 기간 : 3일 ~ 7일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 주소
 - [0727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57-5 (양평동3가) 양평동 이노플렉스 B101~103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문의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close
     

    고객만족센터

    은행계좌안내

    • 국민은행 493601-01-371416
    • 예금주 주식회사 가람로직스


    앗! 화면폭이 너무 좁아요.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더 늘여주세요~

    좁은 화면으로 보실 때는 모바일 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쇼핑을 즐기실 수 있어요~